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Korean battery makers to become winner in burgeoning European EV market(유럽 전기車 특수에 韓배터리 `방긋`)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Pulse로 배우는 영작문-772]'Pulse로 배우는 영작문'으로 영문 뉴스 읽기에 도전해보세요. [영문뉴스 원문 바로가기]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럽 전기차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하면서 일찌감치 현지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 등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한 삼성SDI와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한국 배터리 3개사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LG화학은 유럽시장의 성공적인 공략으로 올해 일본 파나소닉을 제치고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부문 2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The European electric vehicle market has elbowed out the United States to become the world’s second largest EV market last year, raising expectations that Korea’s top three battery makers that have made inroads into the market earlier than their global peers would benefit the most.

19일 전기차 배터리시장 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 전기차시장은 미국을 제치고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시장으로 급부상했다. 지난해 11월 기준 전 세계 각 국에 등록된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0.7GWh로 전년 동월 대비 23.4% 감소했는데 이는 중국과 미국시장의 배터리 사용량이 30% 가까이 크게 줄어든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According to market research firm SNE Research on Sunday, the European EV market has fast ascended to the world’s No. 2, with the total battery usage registered more than doubling on year as of November. This is in stark contrast to the usage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hat plunged almost 30 percent, each, over the cited period. The global consumption of EV batteries as of November last year reached 10.7 gigawatt-hours (GWh), down 23.4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보조금이 줄면서, 미국은 경기침체로 전기차 판매량이 줄었다"며 "반면 유럽연합(EU)의 강력한 친환경 정책과 함께 유럽시장은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학 자동차연구센터는 올해 유럽의 완성차 업체가 순수 전기차를 출시하지 않을 경우 BMW에 약 10억9000만유로(약 1조4147억원), 다임러에 약 39억8000만유로(약 5조1654억원)의 벌금이 부과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BMW는 전기차 약 9만3000대, 다임러는 약 10만1000대를 판매해야만 한다.

Industry experts say the serious fall in the world’s two biggest economies was driven by the Chinese government’s decision to reduce subsidies and the economic slowdown in the U.S. The European market, however, is growing faster than expected on the back of the European Union’s strong support for eco-friendly vehicles, said an industry insider. BMW and Daimler AG have to sell EV labels of 93,000 units and 101,000 units, respectively, in Europe this year to avoid the fine.

강력한 법안과 함께 유럽 전기차시장 성장세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중국 CATL, 파나소닉 등 경쟁 배터리 업체보다 빠르게 유럽시장에 진출한 한국 배터리 3개사는 매출과 시장 점유율 확대 부문에서 유리한 위치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6년 LG화학은 폴란드에, 2017년과 2018년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은 각각 헝가리에 배터리 생산 공장 투자를 결정했다. 세계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1위인 CATL이 지난해 말 독일에서 배터리 공장 기공식을 연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빠른 투자였다. 파나소닉은 아직 유럽에 배터리 공장을 확보하지 않았다.

Markets expect Korean battery makers to become unexpected beneficiaries from the move. LG Chem already decided to build manufacturing facilities in Poland in 2016, with two other makers of Samsung SDI and SK Innovation also seeking to ramp up their battery output in Hungary since 2017 and 2018, respectively. Chinese battery maker CATL, the world’s largest EV battery manufacturer, broke ground on a plant in Germany at the end of last year, and Japan’s Panasonic has yet to secure any manufacturing base in Europe.

◆Editor’s Pick

- elbow out: 밀어내다

- make inroads into: 진출하다

- peer: 친구, 또래

- ascend: 오르다, 올라가다

(예: The teacher-turned-politician has ascended to the presidency / 선생님 출신 정치가가 대통령까지 올랐다)

- in stark contrast to: ~와는 극명히 대조적인

(예: The slump is in stark contrast to the previous year when its sales soared to the highest level in 3 years / 이번의 저조한 성적은 작년 매출이 3년만에 최고치로 올랐던 것과 현저히 대조를 이룬다)

- whopping: 엄청난

- on the back of: ~의 결과로

- ramp up: 늘리다, 증가시키다

(예: The government vowed to ramp up R&D investments for semiconductor technology / 정부는 반도체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늘리겠다고 했다)

- break ground: 착공하다

[영문뉴스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