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부터 전면 개정된 산안법 시행
건설, 재해자 절반이 발생하는 취약업종
드론 등 최첨단 4차 산업기술 속속 도입
"산업안전을 생산공정과 일체화시켜 효과"
드론이 삼척화력발전소 공사 현장 곳곳을 돌아다니며 안전사고가 있는 곳을 감시하고, 측량까지 하고 있다. [포스코건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드론이 건설 현장에 날아다닌다. 인공지능(AI)를 장착한 굴삭기는 설계도면을 현장에서 그대로 구현해 낸다. 막노동판이 사라지고 있다.
28년 만에 전면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이 16일부터 시행에 들어가면서 건설현장이 달라지고 있다. 이 법은 산업재해에 대한 원청 사업주의 책임을 대폭 강화됐다. 건설업은 산업재해의 절반 이상이 발생하는 취약 업종이다. 단순히 안전교육만 한다고 해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건설업체들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발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건설 공법에만 첨단 기술을 적용하는 게 아니라 건설 과정의 안전 확보에도 첨단 기술이 동원되는 셈이다. 재해 예방은 물론 생산성 향상과 근로자 간의 차별 해소에도 톡톡히 효과를 내는 중이다.
포스코건설은 조사·측량·설계·시공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 BIM(3D 설계 도면에 고사계획과 물량까지 담은 디지털 플랫폼), 레이저스캐너, 드론, 자율형 건설장비 등을 도입했다. 폐광산 분지지형인 삼척화력발전소 토목공사에선 드론이 안전사고가 날 위험이 있는 곳을 점검하는가 하면 지형조사와 측량까지 한다
굴삭기와 같은 건설장비에는 고정밀 GPS(위성항법장치)와 센서를 장착해 운전자가 측량사 없이 3D 설계도면만 보고 작업이 가능하도록 했다, 작업자의 경험이나 직감에 의존하던 공사 관행이 데이터에 기반해 수행되기 때문에 굴삭기에 측량사가 부딪히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포스코건설 현장에서 설계도면과 GPS가 내장된 굴삭기가 작업하고 있다. 근로자와의 부딪힘과 같은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설계도면을 공사현장에서 오차없이 구현해 낸다. [포스코건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파트 공사에선 주요 구조물을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추락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원천 차단하는 것은 물론, 최상층 작업 시간까지 단축하는 효과를 낸다.
한성희 포스코건설 대표는 "첨단 기술을 공사현장에 접목하면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원가절감과 중소협력사와의 상생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화건설은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제1공구를 건설하면서 작업자가 접근하기 힘든 교량 상부 공사에 드론을 띄워 안전점검에 활용한다. 추락사고 예방교육에 가상현실(VR) 기술을 적용했다. 가슴이 철렁하는 순간을 미리 경험한 근로자는 조심할 수밖에 없다.
또 HS2E라는 모바일 안전관리 앱 시스템을 구축했다. 건설현장의 안전환경 개선이나 예방조치가 필요한 부분을 누구나 휴대전화로 찍어 입력하면 즉시 공유되고 즉각적인 조치가 이뤄질 수 있게 했다.
현대건설은 2022년까지 AI로봇을 위험 공사구간에 투입한다. 숙련공의 업무패턴이 프로그래밍된 다관절 로봇이 공사를 대신하는 시스템이다. 자율 주행 기능이 탑재된 기계 차량도 배치된다.
포스코의 외부 협력회사인 영남산업은 철강 이동과 관련된 장비를 모두 로봇화했다. 덕분에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이송 업무에 여성도 참여할 정도로 모든 직무에 남녀의 벽을 없앨 수 있었다.
경북 칠곡의 화신정공은 근로자의 근골격계 예방을 위해 로봇 13대를 도입했다. 3~5㎏짜리 금속을 쌓는 데 투입된다. 이후 무재해 기록을 경신 중이다. 덤으로 시간당 생산량이 40%나 늘었고, 납기일을 놓치는 경우도 없다.
임영미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정책과장은 "근로자 안전을 확보하는 게 별도의 생산공정 같지만 실제는 생산성 향상과 회사 이미지 제고와 같은 효과를 내 일체형 공정으로 보는 게 맞다"며 "안전 확보를 위한 업체의 노력을 정부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찬 고용노동전문기자 wolsu@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