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자율주행의 눈, 라이다 국내 스타트업·중소기업의 특허 출원량 폭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라이다 관련 연도별 특허출원 현황(2009~2018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대전)= 이권형기자] 특허청(청장 박원주)은 최근 10년간(2009~2018년) 자율주행차의 핵심기술인 라이다 관련 특허출원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란 빛을 이용해 주변을 탐색하는 장치말하며 주로 차량의 지붕에 회전형으로 설치되거나, 차량 바디에 설치된다.

8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09년~2011년까지 라이다 관련 특허출원이 연간 20여건에 불과했으나, 2012년에 42건으로 2배 상승한 후, 2017년에 121건으로 6배 상승하는 등 출원량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스타트업·중소기업 및 외국기업 모두 출원량이 증가했으며, 특히 스타트업·중소기업이 출원량 급증을 견인했다. 스타트업·중소기업은 2014년까지 10건 미만으로 출원해 오다가 2015년에 20건 이상 출원한 후, 최근에는 30건 이상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같은 경향은 새로운 형상설계와 이에 따른 원가절감기술 개발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적합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적용분야별로는, ‘자율주행차 분야’의 출원이 65%, ‘자율주행차 이외 분야’의 출원이 3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율주행차 분야’에서는 자율주행 신호처리(28%), 라이다 구조 및 제어(26%), 라이다 내장소자(10%) 분야에서 출원이 증가되고 있다.

세부적, 자율주행 신호처리 분야에서는 주행 환경 인식을 위한 신호처리 기술이 주로 출원되고 있고, 라이다 구조 및 제어 분야에서는 회전형 라이다 기술이 대다수 출원되고 있으며, 라이다 내장소자 분야에서는 수광소자가 주를 이루나, 최근에는 고정형 라이다용 빔 조사 각도 제어소자 기술도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주행차 이외 분야’에서는, 교통안전, 무인드론 , 무인 모빌리티, 핸드폰, 보안감시, 헤드셋, 레저 등 다양한 영역에서 라이다 기술이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변교통상황을 알려주는 보행자 안전장치에 적용되거나 무인드론을 이용해 선박의 입출항 정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등 교통안전 영역과 무인드론 영역에서 라이다 기술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이준호 자율주행심사팀 과장은 “자율주행차 분야에서는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상용화를 위한 라이다 기술개발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이고, 자율주행차 이외 분야에서는 국민의 안전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분야로 라이다 기술의 활용범위가 확대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kwonhl@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