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CES 2020] SK텔레콤, 자율주행 기술 '단일 광자 라이다'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SK텔레콤과 파이오니아 스마트 센싱 이노베이션즈(이하 PSSI)는 이번 CES 2020에서 양사의 핵심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Single Photon LiDAR(단일 광자 라이다)’ 시제품을 공개했다./제공=SK텔레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장예림 기자 = SK텔레콤과 글로벌 전장기업 파이오니아 스마트 센싱 이노베이션즈(PSSI)는 이번 CES 2020에서 양사의 핵심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단일 광자 라이다(Single Photon LiDAR)’ 시제품을 공개했다.

이 시제품은 PSSI의 2D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초소형 정밀기계 기술) 미러 스캐닝 기술과 K텔레콤의 양자 센싱 핵심 기술인 △1550nm 파장 레이저 모듈 △SPAD(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단일 광자 포토 다이오드) 기술 △TCSPC(Time Correlated Single Photon Counting) 기술이 적용됐다. 이로써 기존 대비 해상도와 인식률을 대폭 향상,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하며 오는 2021년 상용화 될 예정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춰 사물과의 거리 및 다양한 물성을 감지하고 이를 3D 영상으로 모델링할 수 있는 기술로, 자율주행차의 눈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향후 다양한 분야에 널리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자사 차세대 단일 광자 라이다로 자율주행, 교통 관제로 대표되는 모빌리티 분야 뿐 아니라 보안, 사회 안전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 중이다.

특히 차세대 단일 광자 라이다는 장거리 탐지 능력과 정확한 식별율을 바탕으로 장거리 경계 및 주요 시설 감시 등 보안 분야에도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연기를 투과해 목표물을 탐지할 수 있는 특성은 재난 상황에서의 구조, 구난 등 사회 안전 분야에서도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도 SK텔레콤은 PSSI와 양사의 핵심 요소 기술을 결합, 지속 협력해 차세대 단일 광자 라이다 센서를 더욱 고도화 시킬 계획이다.

이종민 SK텔레콤 테크이노베이션그룹장은 “앞으로도 SK텔레콤은 자율주행 분야 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기술과 제품을 지속 개발할 예정이며, 고객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