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과제, 정책 열거와 별개로 가장 눈길을 끈 부분은 후반부에 등장한 '양날개론'이었다. 문 대통령은 세계정세 격변과 보호무역주의를 들면서 "극단주의는 배격되고, 보수와 진보가 서로 이해하며 손잡을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내부적으로 더 통합적이고 협력적인 사회가 돼야만 경쟁에서 이겨내고 계속 발전해 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집권 전반 지속한 새로운 질서 만들기 노력에 힘입어 한국 사회가 "확실히 변화한다면" 노·사, 중소·대기업, 보수·진보, 남·북한의 두 날개로 상생도약하게 될 것이라고 문 대통령은 말했다.
변화가 양날개의 상생을 이끄는 것일지, 양날개의 상생이 변화를 가져오는 것일지 둘의 인과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견제와 균형 속 국민통합과 협력정치 없이 한국이 재도약하기는 어려운 때가 닥쳤다고 본다면 메시지의 적시성만큼은 분명하다. 주변 열강 틈에서 지정학적 국가 운명을 개척해 가야 할 한국은 지금 국제질서 재편기 한가운데 놓여 있다.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와 패권 쇠퇴, 중국의 미국 추격, 일본의 한국 견제, 비핵화 매개의 대화·대결을 반복하는 북미관계와 남북관계 탈냉전 모색은 하나같이 버거운 도전인데도 한국의 응전 환경은 매우 취약해 보인다. 헌정사상 첫 대통령 탄핵 후 노골화한 일부 극우의 준동과 막말 종교인들의 망동은 의회정치를 더 후퇴시키고 자유민주주의와 법치를 혼탁하게 하고 있다. '조국 정국'을 지나며 진영 논리가 강화되고 관용, 용서, 통합의 정서보다 배제, 단죄, 분열의 감정이 도드라져 국민통합 과제가 더 힘겨워진 것도 간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올해는 이승만 독재를 무너뜨린 4·19 혁명 60주년이자, 전두환 신군부의 폭압에 맞선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는 해다. 매번,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자유와 정의가 꺼져갈 때 온몸으로 저항하며 독재를 물리친 주역은 학생과 시민이었다. 문 대통령도 이 사실을 떠올리며 3년 전 촛불을 들어 민주공화국을 지켜낸 숭고한 정신을 되새긴다고 말했다. 이름 모를 많은 시민의 노고와 희생에 빚진 우리의 민주주의는 이제 더 성숙해야 한다. 촛불의 명령인 '나라다운 나라'는 그런 것이어야 한다. 합리를 보전하고 불합리를 개혁해 보통사람들의 민생을 개선하고 한반도 평화를 증진하려면 대화와 타협의 의회정치 수준이 높아져야 한다. 그 점에서 4월 총선 결과와 의회 지형, 정부와 의회의 관계 설정이 주목되기도 한다. 6선 관록에 국회의장까지 지낸 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가 때마침 인사청문회에서 '총선 후 협치내각 구성'을 문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고 했다. 그게 여당과 다른 정당이 과거 김대중 집권기 DJP(김대중+김종필) 공동정부 사례처럼 정책과 국무위원 배분을 합의하여 가동하는 연합정부 형태가 될지, 아니면 다른 일부 정당인의 국무위원 임명에 그치는 탕평내각 정도가 될지 두고 볼 일이지만 다양한 협치 시도는 언제나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