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드론 날리는 중장년, 레트로 빠진 젊은이…연령별 소비성벽 깨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자료 제공 = G마켓]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령별 인기 품목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에이지리스(Ageless) 트렌드가 온라인 쇼핑에서 주목 받고 있다.

G마켓은 연령별로 선호하는 대표 상품군을 선별해 3년 전인 2016년과 지난해의 판매 증감률을 비교한 결과, 중장년층은 IT 기기와 각종 취미용품을, 젊은층은 뉴트로 상품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했다고 2일 밝혔다. 조사는 10대부터 30대를 젊은 층으로, 40대부터 60대를 중장년층으로 구분했다.

3년 전과 비교해 중장년층의 소비 변화에서 가장 눈에 띈 점은 작동하는 데 어느정도 전문지식이 필요한 IT·디지털 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단 것이다. 노트북은 82%,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33% 증가했고, 헬리캠과 드론은 155%의 신장세를 보였다. 블루투스 이어폰을 구매하는 중장년층 역시 165% 급증했다.

취미생활도 젊어졌다. 같은 기간,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유튜브 등에 올릴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영상촬영용품의 구매량은 81%, 게임용품은 70% 늘었다. 체력이나 민첩함을 요하는 스포츠에도 연령 경계가 사라져 서핑보드를 찾는 중장년층이 3년 전과 비교해 41%, 전동 킥보드는 528%, mtb자전거는 153% 각각 증가했다.

음식에서도 분식(204%)과 즉석식품(172%) 선호도가 높아졌고, 최근 급부상한 밀키트의 경우 3년 새 수요가 259배 증가했다. 패션도 과감해져 미니스커트(126%), 스키니(59%), 가죽부츠(81%) 구매가 크게 늘었다.

젊은층은 복고를 뜻하는 레트로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렸했다. 대표적인 레트로 취미활동인 화폐·주화·우표 수집용품의 경우 판매량이 3년 전 대비 50% 증가했다. 턴테이블(61%)과 오디오·라디오(25%) 수요도 증가했다. 한복을 일상생활에서 즐겨 입는 젊은층이 늘어 패션·캐주얼한복 수요 역시 같은 기간 19% 뛰었다. 한복을 입은 모습을 SNS에 올리는 젊은층이 늘어나면서 판매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먹거리에서도 한과·전통과자(50%), 차·전통음료(40%), 떡(13%) 등이 젊은층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이정엽 G마켓 마케팅 총괄 본부장은 "갈수록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주변의 시선이나 기존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오로지 내가 원하는 것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쇼핑에도 반영되고 있다"면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고 새로운 문화에 거리낌이 없는 기성세대와 과거의 문화를 새롭게 재해석하는 젊은 세대의 크로스 문화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배윤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