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물가와 GDP

[경제전망]통계청 11월 산업지표·12월 소비자물가 발표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다음 주에는 11월 산업활동동향과 12월 소비자물가동향이 발표된다. 생산·소비·투자 등 3대 산업 지표가 증가세로 전환할지 주목된다. 소비자물가가 오름세를 유지할지도 관심이다.


통계청은 30일 11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한다. 10월에는 3대 지표인 생산·소비·투자가 8개월 만에 모두 줄어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4분기 첫 산업활동동향 성적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올해 2% 경제성장률 달성이 버거워졌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올해 우리 경제가 2%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려면 4분기에 국내총생산(GDP)이 0.97% 이상 성장해야 한다. 이에 따라 11월에는 생산·소비·투자가 반등할지 주목된다.


오는 31일에는 통계청이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을 내놓는다. 11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0.2% 상승해 넉 달 만에 공식적으로 상승 전환했다.


소비자물가는 8월(0.0%) 보합에 이어 9월(-0.4%)에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10월(0.0%)에 다시 보합을 보였다.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가 공식적으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7월 이후 4개월 만이다.


한국은행은 31일 기업들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발표한다. 지난 11월 전(全) 산업의 업황 BSI는 전월보다 1포인트 상승한 74로, 횡보세를 나타냈다.


BSI란 기업들이 보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부정적으로 응답한 기업이 긍정적으로 본 곳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돌게 된다.


한은은 같은 날 11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통계를 내놓는다. 10월 은행권 기업대출 금리(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28%로, 1996년 관련 통계 편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