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단속ㆍ감시ㆍ수색… 관공서 ‘드론’ 이용 어디까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오염 배출 가스 단속

소방ㆍ경찰 재난 현장 인명 구조 등도

부산세관, 내년 5월 산하 본부 첫 도입
한국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9일 경남 밀양 밀양하남농공단지. “부웅~부웅” 소리를 내는 드론이 농공단 지 위를 날아 다녔다. 드론을 이용한 대기 배출가스 단속 시연회가 열린 현장이었다. 드론은 한 공장 굴뚝 근처에서 뜬 상태로 멈춰 긴 막대 형태의 빨대로 유해물질이 있는 공기를 빨아 들였다. 이렇게 모은 공기 입자는 성분 분석 기계가 있는 차량으로 옮겨져 바로 분석이 실시됐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측은 “공장이나 작업장을 육상에서 일일이 돌아다니는 것에 비해 드론으로 오염 물질 배출을 감시하는 것이 아주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드론을 이용한 감시, 단속 체제가 부산과 경남 등지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환경 오염은 물론 산불이나 화재 현장 감시, 밀수 현장에 대한 감시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날 드론으로 대기배출가스 시연회를 한 낙동강유역환경청은 드론을 이용해 사업장의 배출물질을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사업장이 모여 있는 지역이나 현장 접근이 어려운 시설 등에서 나오는 고농도 대기오염원을 추적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공중을 날아다니고 있는 드론을 보면 오염 물질을 내던 사업장이 자발적으로 조심을 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경남도의 경우 미세먼지의 양과 농도를 줄이기 위한 특별 대책으로 평소 도 및 일선 시ㆍ군의 단속 활동 외에 올해 처음으로 13대의 드론을 도내에 띄우기로 했다. 남부지방산림청 경남 양산국유림관리소는 지난 여름 휴가철 드론을 이용해 양산 배냇골과 밀양 얼음골 등 행락객이 많이 몰리는 산림에서의 불법 야영, 취사 행위 등 불법 사항을 적발하거나 감시하기도 했다.

부산소방안전본부는 드론 10여 대를 소방 현장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부산소방안전본부 측은 “드론은 주택가 밀집 지역에 화재가 났을 때 화재상황을 파악하거나 진화작전을 펼치는 데 유용하다”고 말했다. 지난 4월 부산 운봉산에서 산불이 났을 때 진화 작전에 투입된 드론은 진화 작전을 세우고 소방 인력을 필요한 곳에 배치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해상에서의 케이블카 고장 사고 대비 훈련에 드론이 동원되기도 하고, 열화상 카메라를 부착한 드론은 경찰과 소방 현장에서 야간 실종자 인명 수색에 도움이 되고 있다. 경찰 등은 드론이 필요한 경우 대학이나 동호회 등의 도움을 받아 사용하고 있다. 부산경찰청 관계자는 “현재 경찰이 자체 보유하고 있는 드론은 없지만 내년에 2대 도입할 예정으로, 재난 현장 수색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밀수 단속에도 동원된다. 부산본부세관은 관세청 산하 본부 중 처음으로 첨단 드론을 도입, 상황실에 드론관제센터를 만들 예정이다. 내년 2월 11억5,700만원을 투입해 드론을 도입하고 직원들을 교육하는 등 5월부터 드론 감시 체제를 본격 가동할 방침이다.

세관 측이 도입하는 드론은 광학 30배, 열 영상, 야간투지경이 설치돼 야간에도 운용할 수 있다. 도입되는 드론 10대는 감시정보팀 2대, 신항과 감천항 각 2대, 북항 4대 등에서 운용된다. 부산세관 측은 “드론이 도입되면 육상의 순찰자와 바다의 감시정이 결합돼 육해공 입체적 감시 체계가 완성될 것”이라며 “감시 사각지대를 줄여 각종 불법 행위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경훈 기자 werther@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