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선거제 개혁

'의석 나눠먹기 야합'에...누더기된 선거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與 뺀 '3+1' 선거법 합의

'원안 상정' 압박에 협상 재가동

군소정당 이익 마지노선 제시

연동형·석패율·이중등록제 등

민주당 "석패율제 재고" 거절

복잡한 방정식에 개혁은 실종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8일 ‘3+1(바른미래당 당권파와 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 ) 협의체’는 선거법 개정안과 관련해 △지역구 250석, 비례대표 50석 △연동형 비례대표 상한 30석, 연동률 50%(21대 총선 한정) △석패율제도 도입 등의 합의안을 내놓았다. 이날 3+1 협의체가 합의한 선거법 개정안은 각 당의 이익 마지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석패율제 재고를 요청한다”며 이 안마저 거절하면서 4+1협의체는 더 크게 쪼개질 위기다.

4+1 협의체는 지난 10일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을 제외하고 내년도 예산안을 본회의에서 통과시킬 만큼 대오가 튼튼했다. 선거법을 통한 의석수 확보라는 공통의 이해관계로 똘똘 뭉쳤다. 하지만 예산안이 통과된 지 3일 만에 4+1 협의체가 쪼개지고 별도의 안이 만들어졌다.

문제는 논의가 4+1에서 협상결렬, 다시 3+1로 오는 길의 막바지에서 각 정당이 철저하게 이익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고착화한 지역구 구도를 타파하고 참신한 인재와 전문가를 영입해 국회를 선진화하겠다는 명분은 사라진 채 선거법이 ‘의석 나눠 먹기’가 됐다.

각 당은 13일 민낯을 드러냈다. 4+1 협의체에서 민주당은 비례대표 50석 가운데 정당득표율로 차지하는 연동형 비례대표 의석의 상한을 30석(cap)으로 묶으려 하자 정의당 등이 크게 반발하며 맞섰다. 민주당은 “끝까지 반대하면 선거법 원안(지역구 225석, 비례대표 75석, 연동률 50%)을 상정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자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대기업이 중소기업 단가 후려치기 하듯이 한다”며 비판했다.

특히 민주당이 원안 상정을 말하자 한국당은 “원안 상정 후 무기명 투표 때는 참여하겠다”며 선거법 테이블에 발을 올렸다. 정작 원안을 상정한 정의당의 심 대표는 “기득권 양당이 소수당에 끝없이 양보를 요구한다”며 반발했다. 심재철 한국당 원내대표는 “자기부정을 하는 코미디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국당의 역공에 4+1 협의체는 전날 3일 만에 회동을 열고 협공에 나섰다. 17일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와 김관영 전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 조배숙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유성엽 대안신당 창당준비위원장이 국회에서 밤늦게 회동했지만 협상은 결렬됐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선거에서 떨어진 의원을 비례대표로 구제할 방법에 대한 의견이 엇갈렸다. 민주당은 후보자가 지역구와 비례대표에 동시에 등록하는 ‘이중등록제’를, 정의당과 바른미래당 등은 지역구에서 근소한 표 차이로 진 후보자를 권역별로 나눠 구제하는 석패율제도를 고수했다. 이중등록제는 등록하면 큰 표 차이로 패해도 비례대표로 구제할 수 있다. 사실상 이중 공천의 효과가 있어 중진들에게 험지 출마를 제안하기 좋다. 석패율제는 아깝게 진 후보자만 비례대표 후보가 된다. 지역구 출마자가 적고 핵심지역을 공략하는 군소정당에 유리하다. 석패율제를 고수하자 민주당은 판을 또 깼다.

이날 3+1 협의체의 합의안은 이 같은 흐름에서 나왔다.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4+1에서 민주당을 뺀 3+1로 변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담은 것이다. 이제 3+1 협의체가 각 당의 이해관계를 담아 민주당에 합의를 요구하는 사실상 1+1(민주당+군소정당)의 구도가 형성됐다. 이 과정에서 원안도 복잡했던 선거법 개정안은 이제 지역구 250석, 비례대표 50석, 연동률이 적용되는 비례의석 30석, 연동률 50%에 석패율제가 될지 이중등록제가 될지도 모르는 복잡한 방정식이 됐다. 여당의 한 의원은 “내가 계산을 해봐도 모를 정도로 복잡하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모두가 제1 야당은 빠진 채 이뤄졌다.

결국 민주당은 3+1의 합의안에 대해 “석패율제를 재고하고 민생법안부터 넘기자”는 역제안을 했다. 밥그릇 싸움을 그만하고 민생법안부터 처리하는 모습으로 민심을 다잡자는 의도다. 3+1이 이를 거절하면 “민생보다 선거법을 우선한다”는 딜레마에 빠진다. 의총에 참가한 여당 의원은 “선거법 협상은 명분도 실리도 잃었다”며 “집권당으로 민생법안부터 처리해 국정수행에 무한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구경우·하정연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