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대기오염 감시에 드론 첫 투입…서울시, 사업장 4000여 곳 점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서울시가 드론(무인기)과 이동측정차량 등 첨단기기를 활용해 대기오염 배출 감시에 나선다. 드론을 오염물질 감시에 투입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12일 오전 송파구 위례지구의 비산먼지발생사업장 밀집지와 장지동 폐기물종합처리시설에 촬영용 드론을 투입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시와 수도권대기환경청 직원으로 이뤄진 합동감시반은 위례지구에서 드론을 띄워 공사장에서 적정하게 물을 뿌리고 야적토사에 방진덮개를 설치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또 장지동에선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사업장 굴뚝에 포집용 드론을 띄워 오염물질을 모은다. 동시에 투입되는 이동형 측정차량은 드론이 포집해온 오염물질의 농도를 분석한다.


서울시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가 시행되는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대기배출사업장 2124곳과 비산먼지발생사업장 1903곳에서 이처럼 집중 관리에 들어갈 계획이다. 서울지역 미세먼지 3대 발생원 중 하나인 산업 부문의 배출량을 낮추기 위해서다.


아울러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이들 4000여 곳 사업장과 공사장을 전수 점검하고 오염도 검사를 병행키로 했다. 서울시는 '미세먼지 시즌' 동안 시와 25개 자치구, 민생사법경찰단, 보건환경연구원 등이 참여하는 29개 단속 태스크포스팀을 가동한다.


오염물질 대기배출사업장은 내년부터 개정된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강화되는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김의승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영세사업장에는 환경기술 및 설치비용 지원을 병행해 배출업체가 미세먼지 저감에 적극 동참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