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한경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이 지속되면 2030년 전력요금이 2017년 대비 25.8% 오르고, 2040년엔 33%까지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8일 '탈원전 정책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전환한 것을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정의하고, 균등화발전비용(LCOE·사회적 환경적 비용을 포함한 전력생산 비용) 시나리오를 분석해 이같이 주장했다.
한경연은 정부가 탈원전을 해도 2030년까지 전력요금 인상요인이 1.3%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근거가 빈약한 경제성 평가에 기초하고 있다며 탈원전 정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크다고 비판했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의 LCOE를 계산할 때 투자비용을 낮추고 토지비용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원전 LCOE 계산 때는 낮은 이용률을 적용하고 안전비용을 과다 산정하는 등 경제성 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렸다는 것이다.
/사진제공=한경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고서는 정부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전환할 경우 원전의 비중은 2030년 33.5%에서 23.9%로, 2040년에는 36.1%에서 15.5%로 줄어들 것으로 가정했다. 신재생에너지는 2030년에 9.8%에서 20.0%로, 2040년에 26.5%로 증가할 것으로 가정하고 3가지 가능한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한경연은 신규 원전 없이 노후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는 시나리오를 가장 현실성 있는 것으로 꼽고 이 경우 신재생에너지가 원전의 경제성을 능가하는 '그리드 패리티'가 2047년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리드 패리티 시점을 2030년으로 예측한 바 있다. 한경연은 정부가 원전의 경제성을 과소평가하고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을 과대평가한 결과, 그리드 패리티 시점이 2030년이란 결론을 도출했다고 주장했다.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전력요금은 2017년과 비교해 2020년에 5.0% 오르고, 2030년에는 25.8%, 2040년에는 33.0% 인상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총생산(GDP)도 2020∼2030년 연평균 0.63% 떨어지고, 2020~2040년 연평균 1.26%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조경엽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중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것이 우리가 가야할 길이 분명하지만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력의 소비자인 산업계, 가계 등 경제주체들과의 충분한 합의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소연 기자 soyunp@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