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위안부 문제' 끝나지 않은 전쟁

"병사 70명당 위안부 1명"…軍관여 뒷받침 日문서 또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문가 "군이 적극적으로 나선 것 보여주는 증거"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일본군이 위안부 제도에 관여한 것을 뒷받침하는 공문서가 추가로 발견됐다.


6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1938년 주중 일본 영사관이 일본 본토에 있는 외무성와 연락하기 위해 작성한 기밀문서에서 군 당국이 병사 70명당 위안부 1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는 기록 등이 확인됐다.


주칭다오 일본 총영사의 보고서에는 "해군 측은 예작부 합계 150명 정도 증가를 희망하고 있으며 육군 측은 병사 70명에 대해 1명 정도의 작부가 필요하다는 의향"이라고 기재돼 있었다.


또 지난 총영사가 외무상을 수신자로 작성한 보고서에서는 일본군이 현지에 진출하면서 풍속업 종사 여성이 늘었다는 설명이 등장한다고 교도는 전했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는 "내지인(일본인) 예기(술자리에서 노래와 춤을 선보이는 여성) 101(명), 동(내지인을 의미) 작부 110(명), 선인( 조선인을 비하한 표현) 작부 228(명)이라는 많은 수에 달했다"고 기록했다.


또 "황군이 전진하는 경우를 내다보고 4월 말까지 적어도 당지에 5000의 특수부녀를 집중해"라고 기술하거나 쉬저우 점령(1938년) 후에는 "군용차에 편승"한 특수부녀 186명이 남하했다는 기록도 발견됐다.


작부, 특수부녀에 대해서는 다른 보고서는 "창기(매춘 여성)와 같다", "추업(천한일·매춘)을 강요받아" 등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이들은 위안부를 의미한다고 교도는 전했다.


전문가들는 군과 외무성이 국가 차원에서 나서 위안부를 전쟁터로 보냈다는 것을 보여주는 근거라고 설명했다. 하야시 히로후미 간토가쿠인대 교수는 "군이 주체적·계획적으로 여성을 모으려고 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라며 "영사관을 통해 외무성에 타진했다"고 풀이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연구에 천착해 온 요시미 요시아키 주오대 명예교수는 "고노 담화에서는 '군의 관여'라는 모호한 표현을 사용했으나 위안부 제도를 군이 만들고 유지하고 운영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일본 정부는 1991년부터 각 성청(부처)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공문서를 내각관방에 모아 조사했다. 수집된 자료 236건과 피해자 진술 청취 결과를 토대로 1993년에 고노 요헤이 당시 관방장관이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죄하는 고노 담화를 발표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자료 조사는 이후에도 이어졌고 수집된 문서는 2018년도 기준 340건에 달한다.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