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캐면 캘수록… 조국 민정수석실 난맥 분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견 근무 버닝썬 총경 구속 이어 감찰무마ㆍ하명수사 잇단 의혹
한국일보

지난해 11월 청와대에서 조국(오른쪽) 민정수석과 백원우 민정비서관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재수 감찰 무마’ ‘김기현 하명 수사’ 의혹이 잇달아 불거지면서 ‘조국 민정수석실’이 무능하거나, 최소한 지나치게 폐쇄적이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미 가족비리로 수사 받고 있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책임론이 다시 한번 불거지는 분위기다.

‘조국 민정수석실’의 난맥상이 가시화된 건 올 3월 ‘버닝썬 스캔들’이었다.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에 행정관으로 파견돼있던 ‘경찰총장’ 윤모(49) 총경의 연예계 유착 의혹이 불거진 것. 윤 총경은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의 혐의로 지난달 29일 결국 구속됐다. 하지만 윤 총경 의혹은 여전하다. 청와대 특별감찰반 소속이었던 김태우 전 수사관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윤 총경이 특감반 업무에도 개입했다고 주장했다.

유재수(55)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 문제도 따지고 보면 결국 특감반이 제대로 걸러내지 못해서다. 비위행위가 확인됐음에도 감찰이 중단됐고, 유 전 부시장은 금융위원회를 나와 국회 정무위원회 수석전문위원, 부산시 경제부시장으로 자리를 옮겨갈 수 있었다.

김기현(60) 전 울산시장에 하명 수사 논란에서도 백원우 당시 민정비서관의 월권 문제가 불거졌다.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첩보를 지방선거 직전에 내려 보내는 일의 민감성, 민정비서관실 특감반의 활동 범위 등을 잘 파악해서 미리 통제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얘기다.
한국일보

지난해 8월 서울 서초동 드루킹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는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국 민정수석실’의 문제는 다름 아니라 너무 정권 친화적인 인사들로 채워져 있어 발생한 것이란 목소리도 나온다. 정권 핵심부 사람들만 있다 보니 ‘내편, 네편’ 논리가 작동하게 된 것 아니냐는 얘기다.

그러고 보면 ‘유재수 감찰 무마’, ‘김기현 하명 수사’ 의혹 이전에 이미 조 전 장관 가족 비리가 있었다. 검찰 수사를 보면 조 전 장관 일가의 사모펀드 의혹은, 조 전 장관이 민정수석에 임명된 이후였다.

한 정부 관계자는 “조국 민정수석이 대통령의 오른팔이다 보니, 의심되는 공직자는 임의제출 형식으로 휴대폰을 받아다 다 조사하지만, 그렇지 않은 공직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미온적이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송정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현주 기자 memory@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