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ETRI, 초분광 카메라 드론 기술 개발...녹조 발생 조기 예측 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드론과 첨단 카메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녹조 발생 정도를 예측하는 기술이 처음으로 나왔다. 녹조 발생을 우려하는 국민 불안을 한층 덜 수 있게 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원장 김명준)은 초분광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 AI로 수역 전반과 녹조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대전 내 대청호 녹조를 원격탐사하는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존에는 시료 채취와 분석 등 과정에 이틀 이상 시간이 걸렸다. 과정도 번거로워 녹조 확산 전 빠른 대응이 어려웠다.

전자신문

초분광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 카메라로 하천 수질을 파악할 수 있는 모습을 담은 CG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발 기술은 드론으로 빠르게 넓은 수역을 살필 수 있다. 녹조 이동, 확산, 분포 등 전체 현황을 한눈에 알 수 있다.

기술 핵심은 초분광에 있다. 일반 영상이 빛을 삼원색(RGB) 3종류로 구분하는 것과 달리 초분광 기술은 가시광선·근적외선 영역을 200개 이상으로 잘게 쪼갠다. 녹조가 띠는 빛 스펙트럼으로 현재 수준을 실시간 디지털화 할 수 있다.

AI로 분석해 향후 전망까지 알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 기술을 활용해 일주일 뒤 어느 지역에 조류가 대발생하는지 여부까지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자신문

ETRI 연구진이 초분광 광학계를 두고 기술 관련 논의 하는 모습. 사진 왼쪽부터 송정호 책임연구원, 김동선 기술실무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관련 정부 부처와 협의해 드론 탐사 정책을 설정하고,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대청호 녹조 실시간 모니터링 맵을 구축할 예정이다. 추가로 드론 이동 경로 설정, 탐사, 데이터 수집, 입력, 분석 등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분석 성능 고도화, 센서 국산화 및 중량·크기 최소화 연구도 진행한다.

권용환 ETRI 박사는 “세계 최고 수준 조류 예측 정확도를 목표로 연구중”이라며 “다양한 상황에 맞춰 녹조 확산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