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미래시장 아세안] ③ 노크 기업 대부분 중기, 통관·금융 등 지원 절실(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스톱 수출입 지원 컨트롤타워 '지역 무역사무소' 신설 필요

국가별 투자정보·기업 네트워크 공유 등 협력시스템도 구축해야

연합뉴스

아세안 대사 오찬 간담회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 아세안 시장을 노크하는 지역 기업 대부분 규모가 영세한 중소기업이다.

이들은 대기업과 달리 개별 기업 단위에서 통관이나 금융 등 수출입 지원업무를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부산상공회의소와 부산연구원의 수출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아세안 진출 의향이 있는 기업의 87%가 수출입 등 교역을 중심으로 진출 계획을 세우고 있다.

따라서 지역기업의 원활한 아세안 진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 기업의 진출 전략을 원스톱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역 무역사무소 설치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다.

이갑준 부산상의 상근부회장은 "지역 기업들의 수출 애로를 원스톱으로 도와주고 필요한 지원업무를 담당할 컨트롤 타워인 지역 무역사무소 설치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무역사무소 역할은 통관절차 지원 등 수출입 지원업무를 중심으로 하고 비즈니스 네트워킹이나 지역 정보 제공업무 등도 담당해야 한다.

부산·울산·경남 등 동남권 광역경제연합 수립과 관련해 동남권 공동 무역사무소를 설치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다고 이 부회장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한중일 아세안 투자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아세안 진출 기업들은 또 수출 확대를 위해 당장 필요한 조치로 금융지원과 세제지원 등 재정적 지원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아세안 진출 기업을 대상으로 수출보증 비용이나 대출 및 이자를 지원하는 금융지원시스템과 세금 납기연장, 징수유예 등 세정지원 시스템을 마련해 자금 흐름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직접적인 재정 지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우선 가능한 영역부터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의 등을 활용해 재정지원을 제안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지역 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기업 네트워크를 구축해 각종 지원사업과 아세안 국가별 투자정보 등을 공유하는 협력체계도 만들어야 한다.

이런 협력시스템에 부산경제진흥원 등 부산시 산하 공공기관의 기업지원 서비스를 연계해 지역 기업들의 아세안 시장 안착을 도와야 한다.

공적개발원조(ODA)와 같은 맞춤형 도시개발 지원 패키지를 연계해 지역기업과 동반 진출하는 방안도 추진할 수 있다.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 등 저개발 국가에는 상수도, 에너지 등 협력 패키지를 구성하고, 싱가포르·말레이시아·베트남 등 선행 국가에는 스마트 시티나 항만 협력 등에 지역기업이 참여하는 방안이다.

연합뉴스

필리핀 민속문화 공연 장면
[한-아세안센터 제공]



이밖에 아세안 지역은 경제적, 문화적, 종교적 차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만큼 진출 예상 지역의 지역학 연구와 글로벌 거버넌스를 형성하는 대책도 필요하다.

심재운 부산상의 조사연구본부장은 "지역기업들의 아세안 진출 의지가 큰 만큼 부산과 아세안의 경제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민관 협력기구로 '아세안·부산 특별위원회'(가칭)를 설치할 필요도 있다"고 제안했다.

이 특별위원회는 기업, 대학, 시민사회, 부산시 전문가 등이 참여해 부산 실정에 맞는 아세안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역할을 한다.

josep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