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재승 대웅제약 회장과 정현호 메디톡스 대표 |
메디톡스는 지난 2006년 보툴리눔 톡신 제품 '메디톡신'을 출시했다. 보툴리눔 톡신은 흔히들 알고 있는 미용 성형 시술용 의약품 '보톡스'를 일컫는다. 대웅제약은 그보다 늦은 2014년 '나보타'를 선보인 후발주자다.
균 출처
물음표
발단은 지난 2016년 국정감사서 비롯됐다. 당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기동민 의원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2010년 국내서 보툴리눔 독소 균주를 발견해 신고했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는 역학조사에 착수하지 않았다. 보툴리눔 독소는 1g의 소량으로 100만명을 살상할 수 있다. 기 의원의 요지는 보툴리눔 독소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국정감사를 통해 대웅제약의 균 출처가 드러났다. 대웅제약은 회사 근처 마구간 흙에서 보툴리눔 독소를 발견했다.
메디톡스는 이른바 '균주 기원 공개토론'을 제안했다. 보톡스 원료인 균주의 출처를 명확히 규정하자는 것이었다. 대웅제약의 '나보타'가 그 대상이었다.
정현호 메디톡스 대표가 직접 기자회견을 열었다. 정 대표는 자사 보톡스 제품의 균주 370만개 염기서열을 모두 공개했다.
정 대표는 "보톡스 균은 발생 지역에 따라 유전정보에 차이를 보인다"며 "미국서 들여온 메디톡스 균과 회사 근처 마구간서 발견했다는 대웅제약 균 정보가 일치하는 것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웅제약 등도 똑같이 염기서열을 공개하라는 압박이었다.
정 대표는 대웅제약 균주에 '홀'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을 지목했다. 정 대표는 "홀은 미국 위스콘신대, 엘러간, 메디톡스만이 보유하고 있는 균주"라며 대웅제약의 균 출처에 물음표를 찍었다.
설전이 법적 분쟁으로…수년간 제자리
"뺐어갔다" vs "찾아냈다"한치 양보 없어
대웅제약은 반박에 나섰다. 보툴리눔 균주는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토양미생물이라는 것. 보톨리눔 균을 토양서 분리 동정한 사례에 관한 논문이 그 근거였다. 식품의약처(이하 식약처)가 중재에 나섰지만 매듭짓지 못했다.
메디톡스는 보툴리눔 균주의 출처가 의심된다며 경찰에게 대웅제약 수사를 의뢰했지만 모두 무혐의로 내사 종결됐다. 겉으로 보기에 '보톡스 갈등'은 가라앉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실상은 달랐다. 오히려 양사 간 신경전이 대결 구도로 치달았다.
2016년 12월 메디톡스는 한 광고를 제작했다. 광고에는 '진짜는 말(馬)이 필요없다' '보툴리눔 균주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 업계 최초 공개'라는 문구가 강조됐다. 앞서 대웅제약이 균의 출처를 마구간으로 밝혀둔 상황이었다. 사실상 대웅제약을 겨냥한 광고로 여겨졌다.
메디톡스 측은 광고 제작에 대해 국내 보툴리눔 톡신 업계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을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염기서열 공개가 가장 빠르고 객관적이라는 것이다. 메디톡스는 해당 광고를 신문과 TV, 라디오, 온라인 포털 등에 내보냈다.
메디톡스는 식약처로부터 행정처분을 받았다. 식약처는 메디톡스의 TV광고가 약사법과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을 위반했다고 봤다. 식약처는 관련 제품에 1개월 광고업무정지 처분을 내렸다. 일각에선 메디톡스 측의 광고 제작이 진흙탕 싸움을 부추겼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기자회견
광고 공격
2017년 5월 대웅제약은 나보타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품목 허가를 신청했다. 메디톡스는 다음달인 6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터 법원에 대웅제약과 알페온(대웅제약의 미국 파트너사) 등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이 자사 보툴리눔 균주를 도용, 수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는 주장이었다.
대웅제약 측은 메디톡스의 '발목 잡기'로 일축했다. 대웅제약 측은 "나보타는 알페온을 통해 미국 FDA 허가신청을 완료한 상태"라며 "메디톡스는 미국서 임상 3상 시험도 시작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업계 후발주자 대웅제약이 메디톡스보다 먼저 미국에 진출할 가능성이 소송의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미국 법원은 "이번 사건은 미국서 다툴 일이 아니므로 한국 법원서 다루는 것이 적합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은 법원 판결을 가지고 서로 다른 해석을 내놨다.
대웅제약은 법원 결정을 두고 "민사소송은 부적합하다는 판단"이라며 "소송으로 위협받았던 나보타의 선진국 진출도 힘을 받게 됐다"고 강조했다.
메디톡스 입장은 정반대였다. 메디톡스는 "명령문 어디에도 '부적합'이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미 법원 판결은 한국서의 소송을 주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미국 법원은 명령문을 통해 한국서 진행하는 소송을 지켜본 뒤 소송을 받아들일지 결정한다는 입장이었다.
메디톡스는 국내 소송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2017년 10월 소송을 제기했다.
메디톡스는 공시를 통해 '영업비밀 침해금지 등 청구의 소 제기'라는 제목으로 보툴리눔 균주 및 독소제제 제조기술정보의 사용금지 및 손해배상청구에 관한 내용을 게재했다. 보툴리눔 균주 관련 정보가 담긴 문서와 파일을 삭제하고, 나보타 제품과 반제품을 폐기하라는 요구였다.
대웅제약 측은 '자사 균주 출처가 이미 여러 차례 정부기관의 실사를 통과한 점' '수사기관 조사에서 무혐의 내사 종결된 점' 등을 강조했다. 또 소송 진행 시 법정에서 메디톡스의 주장이 허구라는 것을 밝히겠다고 날을 세웠다.
지난해 4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 법원의 결정이 나왔다. 미국 법원은 각기 다른 결정을 내렸다.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의 소송은 '각하', 메디톡스와 알페온 등은 '유지'였다. 대웅제약 소송은 한국서, 알페온 등의 소송은 미국서 진행하라는 것이다.
메디톡스는 올해 1월 대웅제약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이하 ITC)에 제소했다. 보툴리눔 톡신 균주 도용이 이유였다. 새해부터 양사 갈등에 불이 지펴진 셈이다.
메디톡스는 영업비밀 침해를 주장했다. 전직 직원이 대웅제약에 메디톡스 보툴리눔 균주와 보툴리눔 톡신 제조공정을 넘겼다는 것. 대웅제약은 나보타의 미국 진출을 방해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반박했다.
지난 2월 대웅제약의 나보타는 미국시장서 판매될 조짐을 보였다. 나보타가 FDA로부터 최종 품목허가 승인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앞서 메디톡스는 2017년 12월 메디톡스는 FDA에 시민청원서를 제출했다. 나보타의 보툴리눔균 출처가 확인되지 전까지 허가를 보류해달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FDA는 이를 거부했다.
나보타 심사 과정서 부정행위가 발견되지 못했고, 보툴리눔균 전체 유전자 정보를 공개할 필요성이 없었다는 점이 청원 거부로 이어졌다.
해외 소송
국내 소송
같은 해 3월 ITC는 공식 조사 실시를 의결했다. 양사는 자신감을 보였다.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이 지적재산권을 탈취해 나보타를 개발했다는 것이 밝혀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웅제약은 시장방어 전략을 재차 강조하며 "ITC 영업비밀 침해 소송은 미국서 기업들이 경쟁 제품이 출시될 때 통상적으로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대웅제약은 "근거 없는 주장에 무고의 책임을 엄중히 묻겠다"고 덧붙였다.
조사에 착수한 ITC는 지난 5월 대웅제약에 나보타 균주 등을 메디톡스 지정 전문가에게 제출할 것을 명령했다. ITC는 '증거개시 절차'를 두고 있다. 증거 개시 절차란 소송 관련 자료를 상대방이 요구할 경우, 제출하도록 의무를 부여하는 것이다.
본 사진은 특정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
핵심쟁점인 균주의 실체가 드러날 조짐을 보이자 양사의 공방전은 여느 때보다 치열해졌다. 지난달 15일 공개된 ITC 소송보고서는 결정적이었다.
지난 7월 ITC 결정에 따라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은 전문가를 통해 각각의 균주에 대한 감정시험을 진행했다. 이후 메디톡스 균주 감정 결과 보고서와 대웅제약 반박 보고서가 ITC 재판부에 제출됐다. 해당 보고서는 양사 대리인들의 합의를 통해 결론 부분이 공개됐다.
대웅제약 측은 균부 분석 결과, 유전자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입증했다고 자신했다. 반면 메디톡스 측은 돌연변이라고 반박했다.
대웅제약 측 전문가 데이비드 셔먼 박사는 전체 유전자 서열분석의 직접 비교를 통해 양사 균주가 여러 부분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밝혔다. 셔먼 박사는 메드톡스 측 분석 방법이 부분적 결과만 도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는 게 대웅제약의 설명이다. 반면 메디톡스 측 전문가인 폴 카임 박사는 일부 차이는 균주 증식 과정에서 나타난 돌연변이 때문이라고 봤다.
무대 가리지 않고 해외서도 소송전
첨예한 입장차 여전…후폭풍 불가피
포자 형성 시험결과에 대해서도 뚜렷한 입장차가 감지됐다. 메디톡스 측 앤드류 피켓 박사의 보고서는 대웅제약 측 감정시험과 동일 조건서 포자감정을 시행, 메디톡스 균주도 포자를 형성한다고 밝혔다.
대웅제약은 "그간 메디톡스가 주장한 사실을 정면으로 뒤집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메디톡스 균주가 당초 주장한 균주가 아닌 다른 균주였거나 감정에 사용된 균주가 메디톡스가 사용하던 균주가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메디톡스는 자사 균주가 어떠한 조건서도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고 주장해왔다. 메디톡스가 대웅제약 균주를 가리켜 토양 분리 동정을 불가능하다고 강조한 까닭이다. 그러나 메디톡스 측 전문가 보고서에 따르면, 대웅제약 측 전문가 감정시험과 동일한 조건에서 메디톡스 균주도 포자를 형성했다.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의 균주 도용을 주장했다. 메디톡스 측 전문가 폴 카임 교수는 "대웅제약 균이 한국 자연환경에서 분리 동정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이라고 밝혔다. 메디톡스는 이를 근거로 "대웅제약 보툴리눔 균주가 메디톡스 보툴리눔 균주서 유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대웅제약 본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메디톡스 측은 "대웅제약의 반박보고서는 한국토양서 균주를 분리 동정했다는 대웅제약 주장을 전혀 뒷받침하지 못하는 자료"라고 꼬집었다. 특히 메디톡스 측은 대웅제약이 유리한 정보만 공개한다고 비판했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대웅제약은 규제기관에 자사 균주가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고 제출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이례적인 실험 조건서 포자가 형성됐다는 유리한 정보만을 선택 공개한다"며 "대웅제약이 시행한 이례적 실험조건으로 메디톡스의 균주도 포자가 형성됐다는 결과를 ITC에 제출했음에도 정작 제소과정에서는 어떤 반박도 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맞다"
"아니다"
한편 ITC는 재판 결과에 따라 보툴리눔 톡신의 수입과 유통 금지 등의 조치를 내릴 것으로 보인다. 업계 안팎에선 재판 결과에 따라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보툴리눔 균주를 훔쳤다는 메디톡스의 주장이 사실일 경우 대웅제약은 도덕성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국내 토양서 균주를 발견했다는 대웅제약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메디톡스의 경쟁사 발목 잡기가 수면 위로 부상, 논란을 야기할 공산이 크다.
<기사 속 기사> 메디톡스-대웅제약 다툼에 미소 짓는 휴젤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의 소송전 장기화로 휴젤의 반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간 메디톡스는 보톡스 업계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지만, 대웅제약의 전면전과 제품 회수조치 명령 등이 악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그 사이 휴젤은 매섭게 추격했다.
휴젤은 지난달 18일 기준 3.19% 반등, 시가총액 규모서 메디톡스를 넘어섰다. 반면 휴젤은 지난달부터 메디톡스를 바짝 추격하며 몸집을 키워왔다.
지난 9월19일 기준 휴젤의 시가총액은 2조404억원이었다. 당시 메디톡스가 6위, 휴젤이 7위였지만 인보사 사태, 신라젠 쇼크 등 바이오주 주가 폭락서 순위를 지켜내면서 메디톡스를 제칠 수 있었다.
메디톡스는 소송전 장기화 국면에 따라 법적분쟁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했고, 승소 전망도 불투명한 까닭에 투자자들의 우려는 쉽게 지워지지 않았다.
또 식약처는 최근 메디톡신 일부 수출용 제품에 대해 품질 부적합을 판정해 회수 및 폐기 명령을 내렸다. 이 역시 메디톡스 주가에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반면 휴젤은 올해 3분기 보툴리눔 톡신과 필러 수출의 호조로 무난한 실적을 기록하게 될 것으로 점쳐진다.
신한금융투자는 휴젤의 3분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179.9% 증가한 144억원으로 예상했다. 배기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톡신과 필러 수출이 작년 동기보다 각각 20.4%, 12.0% 늘어났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수>
<저작권자 Copyright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