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흥미진진 견문기] 행촌동·백양로·외솔관… 독립문 앞 숙연해지는 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김미선 책마루독서교육연구원


3·1운동 100주년에 찾은 서대문독립공원 이곳저곳은 전날 비 온 뒤의 날씨와 맞물려 스산했다. 탑골공원에서 옮겨져 지난 8월 건립된 3·1독립선언기념탑을 기점으로 시작된 투어는 항일투쟁으로 순국한 선열들의 족적이 좌우에 배치돼 누구보다 나라를 위했던 그들의 정신을 가슴으로 느낄 수 있었다. 특히나 ‘밥 먹을 때마다 나라를 생각했다’는 장병하 애국지사의 족적은 찡한 여운을 남겼다. 여운을 뒤로하고 파리의 개선문을 본떠 화강석으로 건립된 독립문 앞에 섰다. 물리적 규모보다는 가슴에 크게 새겨야겠다는 해설사의 말씀을 듣고 잠시나마 초라하게 보였던 독립문이 커다란 의미로 다가오며 절로 숙연해졌다.

‘한글이 곧 목숨이다’며 일제강점기 때 한글을 지킨 독립운동가 외솔 최현배 선생의 작품 ‘사주오 두부장수’의 배경이 된 행촌동의 자취를 따라 걸었다. 작품 속처럼 ‘생선 사려’, ‘새우젓 사오’라는 골목길의 외침 소리는 사라졌지만 대신 옛 한옥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무악동 선교본당을 볼 수 있었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그들이 스스로 주인임을 알게 하는 것이 교육이라는 설명으로 자주독립과 계몽을 위해 애쓴 선열들의 뼈아픈 현실과 그 현실을 해학적인 표현으로 풀어낸 최현배 선생의 ‘사주오 두부장수’의 내용이 예스러운 풍경과 겹치며 시대적 상황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일행은 석교감리교회와 영천시장을 지나 연세대로 가는 버스에 몸을 실었다. 은행나무잎을 사뿐히 밟으며 곧게 뻗은 백양로를 걷다 보니 연세대 초대 부총장과 30여년간 교수로 몸담았던 최현배 선생의 호를 딴 외솔관을 마주할 수 있었다.

외솔관은 교정의 제일 안쪽에 자리잡고 있었는데 건물 뒤쪽으로 작은 동산이 있고 나무들이 울창했다. 민족의 정신과 얼은 곧 말에서부터 나온다는 주시경 선생의 정신을 이어받아 한글교육과 국어의 문법체계를 만드신 최현배 선생의 업적과 작품의 해설을 들으며 가치 있는 투어를 했다는 흡족한 마음으로 마무리했다.

김미선 책마루독서교육연구원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