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우리말 바루기] 겨우살이를 준비할 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갑자기 날씨가 추워졌다. 봄·여름·가을을 지나 계절은 어느덧 겨울로 들어서고 있다. 계절이 들어간 다음 낱말 가운데 표준어가 아닌 것을 모두 고르시오.

ㄱ.봄내 ㄴ.여름내 ㄷ.가을내 ㄹ.겨울내

우리말바루기를 열심히 보아 온 독자라면 정답을 골라 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여기에서 나오는 ‘내’는 ‘내내’를 뜻하는 말이다. ‘봄내’는 ‘봄 내내’, ‘여름내’는 ‘여름 내내’를 의미한다. ‘가을내’와 ‘겨울내’ 역시 ‘가을 내내’와 ‘겨울 내내’를 뜻한다.

‘봄내’와 ‘여름내’는 문제 될 게 없다. 정답은 ㄷ.과 ㄹ.이다. 원래는 ‘가을내’ ‘겨울내’였겠지만 발음을 부드럽게 하다 보니 ‘ㄹ’ 받침이 떨어져 나가 ‘가으내’ ‘겨우내’가 됐고 이것을 표준어로 삼고 있다.

따라서 ‘가을내’ ‘겨울내’라고 하면 틀린 말이 된다. “그리움이 가을내 사무쳤다” “겨울내 감기 한 번 안 걸렸다”는 “그리움이 가으내 사무쳤다” “겨우내 감기 한 번 안 걸렸다”로 바꾸어야 한다.

그렇다면 ‘겨울살이’는 어떻게 될까? 겨울 동안 먹고 입고 지낼 옷가지나 양식 등을 통틀어 이르거나 겨울을 남을 뜻하는 ‘겨울살이’ 또한 ‘겨우살이’라고 해야 한다. “이제 겨울살이를 준비해야 할 때다”는 “이제 겨우살이를 준비해야 할 때다”로 고쳐야 한다.

‘멀지않아 → 머지않아, 길다랗다 → 기다랗다, 달디달다 → 다디달다’ 등도 이런 예다. ‘바늘질 → 바느질, 하늘님 → 하느님, 딸님 → 따님, 아들님 → 아드님, 열닫이 → 여닫이’ 역시 ‘ㄹ’ 받침이 없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배상복 기자 sbba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