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종합] 북한 김정은, 2년만에 전투비행술대회 참관…한미공중훈련 ‘맞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북한 김정은, 2년만에 전투비행술경기대회 참관(서울=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년 만에 전투비행술경기대회를 참관했다. 이달 예정된 한미 연합공중훈련에 북한 역시 공군력 과시로 맞서는 모양새인데, 비핵화 협상 시한인 연말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에어쇼라는 저강도 군 행보로 미국의 태도 변화를 압박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16일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비행지휘성원들의 전투비행술경기대회 2019’가 원산갈마비행장에서 진행되었다”며 “김정은 위원장이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전투비행술경기대회는 북한 공군의 다양한 항공기들이 실전 같은 비행 기술을 선보이는 일종의 에어쇼로 2014년 김 위원장의 지시로 처음 시작된 이후 매년 진행됐으며, 김 위원장도 2017년까지 참석했다. 북미 비핵화 협상이 한창 진행되면서 미국 및 한국과 관계가 좋았던 작년에는 아예 행사 보도 자체가 없었다.

김 위원장은 "우리 비행사들은 철두철미 위대한 사상과 위대한 전법으로 머리끝부터 발톱까지 무장한 적들과 싸울 생각을 해야 한다"며 "싸움의 승패여부는 무장 장비의 전투적 제원에 따라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상을 가지고 무엇을 위해 싸우는가 하는데 달려있다"고 말했다.

경기대회에는 박정천 인민군 총참모장, 김광혁 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사령관 등 인민군 지휘부가 참석했다.

김 위원장의 군 관련 행보는 지난 9월 10일 초대형 방사포 2차 시험사격 이후 66일(보도일 기준) 만이다.

그는 지난 10월 2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10월 31일 초대형 방사포 3차 시험사격 때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번 경기대회 참관은 한미 훈련에 따른 북한 내부의 안보 불안감을 잠재우면서 동시에 미국을 압박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미국 국방부 장관이 북한의 반발을 고려해 공중훈련을 축소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조만간 실무협상이 재개될 수 있는 상황에서 가능한 미국을 덜 자극하려고 신경 쓴 부분이 눈에 띈다.

북한 매체들은 앞서 2014~2017년 대회 때는 김 위원장이 경기대회를 '지도'했다고 보도했으나, 이번에는 더 수동적인 표현인 '참관'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