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경북 소재부품종합기술지원단, 기업 현장 기술자문 '눈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술 수요조사로 6개 기업 12명 전문가 현장 파견

파이낸셜뉴스

경북 소재부품종합기술지원단이 기업 현장을 찾아 기술자문을 하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경북도는 '경북 소재부품종합기술지원단'이 일본의 수출규제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 현장을 방문해 기술자문에 나서 눈길을 끈다.

경북 소재부품종합기술지원단은 지역 소재부품산업의 국산화·자립화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일본 수출규제 대응의 핵심 기구로 지난 8월 6개 분과 106명의 산학연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됐다.

현장 기술 자문은 사전 수요 조사를 통해 신청한 총 15개 기업 중 소재부품 핵심 분야에 속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기계·금속, 기초화학 분야 각 1개 기업(총6개 기업)을 우선 선정, 지난 7일까지 산학연 전문가가 기업 현장을 직접 방문해 기술 컨설팅을 실시했다.

섬유관련 분야인 A사의 경우, 자동차 하네스 테이프용 원단 국산화 개발을 위해 기존 수입되는 자동차 하네스 테이프를 입수·분석하고 개발 전략을 제시했다.

전기전자 분야의 B사의 경우 고 열전도성과 재활용성을 높인 탄소 소재 혼합 구성의 전자 회로 기반 소재 개발을 위한 방법을 제안했으며, 자동차 분야인 C사의 경우 전기차, 자율주행차 모터용 리졸버 개발시 고려돼야 하는 주요기술 요소를 도출했다.

기계부품소재 분야인 D사는 일본 의존도가 높은 금속분말 및 바인더와 관련해 단기적 수입 다변화 전략과 장기적 국산소재 개발 전략을 제시했다.

기술자문을 받은 김동우 누리티앤피 대표이사는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원재료 수급 및 개발에 대한 장·단기 전략과 국가 및 지역 연구개발(R&D)자금 지원의 정보를 받을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됐다"면서 "기술 자문위원을 기업 전담으로 해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도는 이번에 기술자문을 받은 기업에 대해 세부 추진전략 컨설팅을 위한 2차 방문과 도내 기업의 기술 수요 추가조사, 수출규제 피해신고센터에 접수된 기술 애로 내용 등을 토대로 이달말 기술 자문 지원을 확대해 가급적 신청한 모든 기업에 기술 전문가를 파견할 방침이다.

전웃헌 경북 소재부품종합기술지원단장(도 경제부지사)은 "일본 수출규제의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조치사항들을 우선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중장기적으로 지역 R&D 혁신역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지원책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