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춘천 마을버스 노조파업 때는 절반 이상 스톱···대책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 "2년 갱신 한정면허…노조에서도 신중할 것"

뉴스1

춘천 25인승 마을버스 '봄봄'. (춘천시 제공) 2019.11.13/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춘천=뉴스1) 김경석 기자 = 강원 춘천시 25인승 마을버스 30대 중 70% 이상이 ㈜춘천시민버스가 운영하고 있어 노조파업 때는 대부분 멈출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다.

13일 시에 따르면 15일 시내버스 전면 개편 후 읍면에 운행됐던 시내버스가 모두 사라지고 25인승 마을버스가 운영된다.

마을버스는 북부권(신북읍, 서면, 사북면, 북산면) 11대, 남서권(신동면, 남면, 남산면) 11대, 남동권(동면, 동산면, 동내면) 8대 등 총 30대가 운영된다.

북부와 남서쪽 22대는 ㈜춘천시민버스, 남동쪽 8대는 뉴코리아고속관광이 위탁을 받아 운영한다.

그러나 기존 대동·대한운수에서 통합 법인으로 출범한 ㈜춘천시민버스에 노조가 존재하는 만큼 파업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춘천시민버스에는 회사 노조, 민주노총, 한국노총 등 노조가 존재한다. 의무 가입은 아니지만 직원 대부분이 노조에 가입하는 것이 관행이다.

15년간 버스업체에 근무한 근로자는 "노조 간 임금협상 결렬로 파업이 진행된다면 마을버스 대부분이 멈춘다. 마을버스 이용객이 어르신들인 만큼 파업 땐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며 "시는 파업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운수 업체에 운영권을 나눠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민주노총 대동·대한운수지회는 임금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지난해 8월20일부터 10월17일까지 약 두 달간 단체행동에 나선 바 있다.

파업이 장기화 되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됐으며 읍면 지역에서는 희망택시 신청자가 급증해 정작 필요한 사람들은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까지 발생했다.

이에 시는 전세버스를 투입하고 버스에 공무원이 동승해 버스 정류장마다 안내하는 등 혈세와 인력이 낭비됐다.

시 관계자는 "파업 시에는 대체버스를 투입하는 수밖에 없다. 위탁 업체들에게 2년마다 갱신하는 한정면허를 발급했다"며 "만약 2년간 운영평가에서 낙제점을 받게 된다면 언제든지 다른 업체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노조에서도 파업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kks10190@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