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2 (화)

조선시대 마마(천연두) 의료서 안동 고택서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문적인 마마 다룬 의료서 발견 이례적

1806년 쓰인 의료서로, 금포고택에 소장

중앙일보

조선시대 마마(천연두) 의료서인 보적신방. [사진 한국국학진흥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에 가장 무서운 병은 '호환 마마'다. 호환은 호랑이에게 화를 입는 우환이고 마마는 천연두로 불리는 전염병이다. 특히 마마는 전염성과 사망률이 높아 조선 시대 공포의 질병이었다. 치료 약이 없어, 그저 낳기를 기다리거나, 물을 떠놓고 기도하는 정도가 치료법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이때 마마의 증상과 해독법 등을 전문적으로 연구해 다룬 전문 의료서가 있었던 사실이 최근 확인됐다. 경북 안동의 한 고택에서 200여년 만에 의료서『보적신방(保赤神方)』이 발견되면서다.

한국국학진흥원 측은 5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금포고택 문중(예천 임씨)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조선 시대 한국학 관련 고서적들 가운데 마마 전문 의료서인 『보적신방』이 나왔다"고 밝혔다. 조선 시대 의료서 가운데 다른 질병과 함께 마마에 대한 증상·치료법 등을 다룬 의료서는 간혹 발견됐지만, 마마만 전문적으로 다룬 의료서 발견은 이례적이다.

보적신방 중 '보적'(保赤)은 중국 유학 관련 경전인 서경(書經)에 '갓난아이를 보호하듯'이란 구절을 인용한 것이고, '신방'(神方)은 신비한 처방, 신기한 방법이란 뜻이다.

가로 7㎝ 세로 19㎝ 크기의 한지 60쪽 분량인『보적신방』은 1806년에 쓰인 것으로 추정됐다. 퇴계학파 관료 학자인 권방(1740∼1808)이 쓴 서문이 책 첫 장에 붙어 있어서다. 권방은 서문에서 "갓난아이를 돌보듯 하면 병은 자연히 치료될 것이다"고 했다.

중앙일보

경북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한국국학진흥원.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자는 당시 중인 신분에 속한 전의감 직장을 지낸 의원 변광원이다. 그는 마마의 원인과 예방법·해독법, 임상을 통한 경험을 상세히 담았다. 책에서 변광원은 "마마에 걸리더라도 부족한 정기를 보충해 질병의 기운을 줄이면, 몸이 조화를 이뤄 병이 스스로 물러난다"고 했다. 마마의 증상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는 설명도 더했다.

그는 "마마의 치료에서 열병과 종창의 두 분야에 유의해야 한다"며 "마마 치료에서 오장 가운데 비장의 기능을 든든하게 하고 생기를 충족한다면 고치지 못할 걱정이 없다"고 했다. 마마와 관련한 식이요법과 발열·발진·수포·설사 등의 증상, 마마를 해독하는 약재를 다룬 탕약 치료방법 등도 자세하게 담았다.

임노직 한국국학진흥원 자료부장은 "속담에 '마마가 앞에 오고, 마진(홍역)은 뒤에 온다'는 것이 있는데, 책엔 마진의 근원과 형상, 증세, 치료법도 요즘 의료서처럼 보충설명으로 더해져 있다"며"한국국학진흥원 수장고에 의료서를 보관하며, 자세한 연구를 진행할 방침이다"고 했다.

안동=김윤호 기자

youknow@joogn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