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참여연대 위원 또 공개비판 "조국 사태때 권력 감시역할 포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참여연대 로고



참여연대 내부에서 권력 감시 역할에 소홀했다는 공개 비판이 또다시 나왔다. 지난 9월 조 전 장관 논란이 불거진 이후 참여연대의 대응을 비판한 김경율 전 집행위원장에 이어 두 번째다.

조혜경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실행위원은 지난달 30일 오후 참여연대 홈페이지 회원 게시판에 '참여연대 지도부의 총사퇴를 요구하며 참여연대를 떠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조 전 장관 논란에 대한 참여연대의 대응을 비판했다. 본인도 직책을 내려놓고 회원을 탈퇴하겠다고 밝혔다. 조 위원은 2011년 참여연대에 합류해 최근까지 경제금융센터 실행위원으로 활동했다.



"참여연대, 조국 사태 때 권력 감시자 역할 포기"



조 위원은 "‘조국 사태’를 통해 참여연대는 25년 역사에 씻기 어려운 오점을 남겼다"는 말로 글을 시작했다. 그는 "참여연대 내부의 ‘조국 사태’는 감시자로서 역할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었다며 "참여연대가 관변 시민단체로 전락했다는 오명을 자초한 것에 대해 지도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민단체의 정치적 행위가 특정 정권을 보호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조 위원은 "정부의 돈을 한 푼도 받지 않는 것이 시민단체가 지켜야할 정치적 독립성의 전부가 아니다"고 했다. 정부의 지원금을 받지 않는다는 것만으로 정치적 독립성이 담보되지 않으며, 더 중요한 것은 어떤 정권과도 정치적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라는 취지다. 조 위원은 "그렇지 않으면 참여연대는 정권의 부속물이라는 비난, 관변 시민단체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 위원은 '거리 두기'가 이번 정부 이후 어려워졌다고 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들어 중심을 잡는 일이 더욱 어려워졌다"며 "‘조국 사태’는 그간의 힘겨운 중심잡기 노력을 모두 수포로 만들어버렸다"고 주장했다. 이번 사태가 우연적이거나 일회적인 일탈이 아니라 앞으로도 같은 일이 계속해서 반복될 것 같다는 점에서 안타깝다고도 덧붙였다.

조 위원은 그 배경에 일종의 '전관예우'가 있는 것이 아닌지도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참여연대 인사가 이번 정권에서 권력의 중심부와 정권의 요직에 들어가는 사례가 급격하게 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등이 대표적인 참여연대 출신이다. 조 전 장관도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소장을 지냈다.

조 위원은 "지금까지도 아무 일 아니라는 듯 침묵하고 있는 지도부의 무책임함을 인정할 수 없다"며 "그동안 몇몇 회원들이 큰 실망을 안고 참여연대를 떠났듯, 저도 회원(자격)과 경제금융센터 실행위원직을 모두 정리하겠다"고 했다.



참여연대 "김경율 징계 없이 사임처리"



중앙일보

김경율 참여연대 집행위원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참여연대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조 전 장관을 지지하는 전문가들을 비난하고 참여연대의 대응을 비판한 김경율 전 집행위원장을 징계하지 않기로 했다.

박정은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4일 홈페이지에 글을 올리고 "지난 10월 21일 상임집행위원회는 김경율 회계사가 참여연대에서 맡았던 모든 직책에서 사임 처리하고, 징계 절차를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조 전 장관 관련 논쟁적인 사안에 대해 조직 내부에서 다양한 견해가 표출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임에도, 이를 조정하고 조율해야 할 (김경율 전) 공동집행위원장이 이견을 제기하는 이들을 오로지 권력을 좇는 자들로 폄훼한 것은 부적절한 행위"였다고 평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