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경북도, 해양쓰레기 처리 위해 '바다환경지킴이' 대폭 증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안동=뉴시스】 포항 앞바다에서 바다환경지킴이들이 해양 쓰레기를 치우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2019.11.0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동=뉴시스】류상현 기자 = 경북도가 5일 내년에 바다환경지킴이 지원사업을 200명 이상 대폭 증원한다고 밝혔다.

바다환경지킴이 지원사업은 국비를 지원받아 시군이 해양쓰레기 투기 감시, 수거활동 인력을 채용하는 사업이다.

올해 포항시는 17명, 울릉군은 6명을 채용해 지난 4월부터 지금까지 포항연안과 울릉지역에 해안쓰레기 377t(포항 340t, 울릉 37t)을 수거했다.

포항에서는 특히 여러 번의 태풍이 몰고 온 많은 해안쓰레기 조기수거에 이들이 활약했다.

울릉군은 올해초 개통된 일주도로 개통으로 많은 관광객이 찾아 쓰레기 발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자 이들을 취약지구에 상시 배치해 투기감시와 수거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

포항에서는 호미반도 해안둘레길 개통(이용객수 218만명), 포항 영일만 관광특구 지정으로 연 200만명의 방문객이 예상되고, 울릉에서는 독도 방문객 증가(연 10% 정도) 등으로 이들 인력 확충이 절실하다고 경북도는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30%이던 국비 보조율을 내년에는 50%로 늘이고 경북도에는 200여명에 대한 총사업비 27억원 가운데 13억5000만원의 국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해양쓰레기 수거를 위해 월평균 320명 정도의 인력을 자체예산으로 채용하던 경북도 5개연안 시군의 바다환경 지킴이 지원사업이 더욱 활기를 띨 전망이다.

김종인 경북도 항만물류과장은 “해양쓰레기는 60% 이상이 육지에서 나온다. 원인자가 불명확해 광역적인 처리를 해야하고 지형적 특성상 수거가 힘들고 많은 인력과 장비가 들어 국비지원이 필요한 사업"이라며 "해양수산부의 국비지원 비율 상향이 적절한 조치인 것 같다"고 말했다.

spring@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