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빅데이터MSI]시장심리 톱5, 현대차·하이트진로·GS·동서·GKL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장심리 워스트5, 카카오·유한양행·한국전력·삼성전자·삼성전기

뉴시스

【서울=뉴시스】하종민 기자 = 18일 빅데이터 시장심리지수(MSI)가 가장 높은 '톱5'에 현대차(005280)·하이트진로(000080)·GS(078930)·동서(026960)·GKL(114090)이 선정됐다.

시장심리가 낮은 '워스트5'에는 카카오(035720)·유한양행(000100)·한국전력(015760)·삼성전자(005930)·삼성전기(009150)가 뽑혔다.

이는 뉴시스와 코스콤이 주요 상장기업 250곳에 대해 공동 분석해 산출해 낸 빅데이터 MSI(http://m.newsis.com/stock.html, 모바일 전용)로 전 거래일 오후 4시부터 이날 오전 8시까지 데이터를 취합한 결과다.

현대차의 시장심리지수는 전 거래일과 같은 7단계 '매우 좋음'을 기록했다. 관련 키워드로는 가치, 경제, 대통령, 부문, 평가, 미래, 기술, 금지, 현대카드, 전기차, 소형 등이 꼽혔다.

하이트진로의 시장심리지수도 전 거래일과 같은 7단계를 유지했다. 연관 키워드로는 테라, 맥주, 오비맥주, 청정, 카스, 점유율, 판매량, 보리밭, 생수, 판도, 주류업계 등이 뽑혔다.

GS의 시장심리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계단 오른 7단계를 나타냈다. 온라인에서는 GS칼텍스, 그린본드, 발행, 관리, 환경, 시설, 구축, 저감, 채권, 대기오염 등이 주로 검색됐다.

동서의 MSI지수는 7단계로 전 거래일과 같았다. 핵심 키워드로는 가스터빈, 에너지, 활동, 수주, 동서식품, 동서발전, 사회공헌, 효과, 단지, 발전용, 디엠에스 등이 선정됐다.

GKL의 MSI지수도 전 거래일과 같은 7단계를 유지했다. 주요 키워드로는 카지노, 방문객, 종가, 거래량, 등락율, 종목명, 내년, 홀드율, 드롭액, 방한, 금액 등이 꼽혔다.

뉴시스


시장심리가 낮은 워스트5에는 카카오·유한양행·한국전력·삼성전자·삼성전기가 뽑혔다.

카카오의 시장심리지수는 전 거래일과 같은 1단계 '매우 나쁨'을 기록했다. 관련 키워드로는 서비스, 이용, 정품, 지문, 카카오뱅크, 이용금액, 간편송금, 스마트폰, 상품 등이 선정됐다.

유한양행의 시장심리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계단 하락한 1단계를 나타냈다. 주요 키워드로는 바이오, 제약, 임상, 신약, 레이저, 임상2상, 성공, 데이터 등이 꼽혔다.

한국전력의 시장심리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계단 급락한 1단계를 나타냈다. 연관 키워드로는 수상기, KBS, 수신료, 의원, 징수, 방송법, 한전, 개인정보 등이 뽑혔다.

삼성전자의 MSI지수도 1단계로 전 거래일보다 1계단 하락했다. 온라인에서는 삼성, 케이스, 조국, 경기, 검찰, 갤럭시, 국민, 반도체, 지문인식, 지문, 수사, 블록체인 등이 선정됐다.

삼성전기의 MSI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계단 하락한 1단계를 기록했다. 주요 키워드로는 내일, 현금, 수익, 주식투자, 소식, 원금, 기회, 고점, 하나회, 원칙 등이 꼽혔다.

MSI는 총 7단계로 나뉜다. 1단계 '매우 나쁨', 2단계 '나쁨', 3단계 '약간 나쁨', 4단계 '보통', 5단계 '약간 좋음', 6단계 '좋음', 7단계 '매우 좋음' 등으로 분류된다.

MSI 레벨이 가장 낮은 수준인 1단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7단계 쪽으로 바뀌면 해당 종목에 대해 온라인상에서의 반응이 부정에서 긍정으로 바뀌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한편 2017년 8월1일부터 선보인 빅데이터 MSI 모바일 전용 버전은 구글플레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뉴시스' 앱을 내려받거나 뉴시스 모바일 홈페이지(m.newsis.com)에 접속한 뒤 메인화면의 '빅데이터 MSI'를 클릭해 이용하면 된다.

※ 빅데이터MSI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 결과에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주식시장에서는 다양한 국내외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한 지표로만 판단하면 뜻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hahaha@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