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교통수단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개통 시기는 빨라야 오는 2027년 말이다. 2022년부터 입주가 시작되면 5~6년간 출퇴근 수단은 광역버스가 유일하다. 국토교통부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강변북로에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교통지옥'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강변북로에 BRT를 설치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BRT는 교차로에 지하도나 고가차로를 설치해 정차시간을 최대한 줄인 버스전용차선이다. 정시성을 지키면서 사업비가 적게 들어 지하철을 대체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
국토부는 BRT를 강변북로로 연결해 서울 도심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강변북로에 버스전용차선이 생기면 교통체증을 피해 출퇴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계획이다. 종착점은 강변북로와 인접한 지하철역인 2호선 강변역이나 7호선 뚝섬유원지역이다. 국토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수도권 동북부 지역의 광역버스 기반 교통체계 개선방안 연구용역'을 내년 하반기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박재홍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간선급행버스체계과장은 "버스전용차로가 운영 중인 경부고속도로와 달리 강변북로는 광역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왕숙신도시를 비롯한 수도권 동북부권 주민들이 광역버스를 타고 서울로 빠르게 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왕숙신도시에 BRT가 필요한 이유는 GTX 개통시기를 입주 시점에 맞출 수 없어서다. 정부는 3기신도시를 서울 도심까지 30분내 출퇴근이 가능한 도시로 계획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교통수단이 GTX이지만 추진 속도가 늦다. 특히 왕숙신도시를 지나는 GTX-B노선은 A~C 세 노선 중 사업 속도가 가장 더디다. 국토부 계획은 2022년 착공해 2027년 말 개통한다는 목표다. 3기신도시 첫 입주자 공모는 2021년부터 시작된다. 빠르면 2022년부터 주민들이 입주한다.
|
이현재 자유한국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광역교통대책이 수립된 수도권 택지 30곳의 교통사업 89개를 분석한 결과 86건이 계획보다 최소 1년, 최대 15년까지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일한 수단인 광역버스의 노선 신설, 증차 협의가 원만히 이뤄지지 못한다는 점도 문제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시와 경기도 간 광역버스 노선조정 협의 결과 협의에 성공한 경우는 52.4%에 그쳤다.
'신도시 포럼'의 교통분과 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응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신도시 교통망이 갖춰질 때까지 엄청난 교통 불편이 예상돼 단기대책으로 광역버스를 원활하게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서울시로 진입하는 경기도와 인천시 버스노선의 허가·증차에 대해 서울시의 보다 적극적인 협의가 필요하다"며 "입주초기 버스 적자에 대한 보조금을 사업시행자가 일부 부담하는 등 버스운영자에 대한 지원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syu@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