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울시, 상봉역 인근에 ‘역세권 청년주택’ 83호 공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년 2월 착공…지하 3~지상 8층 규모

[헤럴드경제=이진용 기자]지하철 7호선·경의중앙선·경춘선이 지나는 상봉역 인근에 ‘역세권 청년주택’ 총 83세대(공공임대 6세대·공공지원민간임대 77세대)가 건립된다. 내년 2월 중 착공해 2021년 3월 입주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약 30%에 해당하는 28세대는 신혼부부에 공급된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으로 중랑구 상봉동 109-34번지 일원의 ‘상봉역 역세권 청년주택’ 83세대 공급을 위한 도시관리계획(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을 결정 고시했다고 17일 밝혔다.
헤럴드경제

상봉역 역세권 청년주택 조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봉역 역세권 청년주택은 제3종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 변경을 통해 연면적 4789.54㎡, 지하3층~지상8층 규모로 지어진다. 지상1~지상2층엔 근린생활시설과 지역민을 위한 공공청사가 들어선다. 지상3~지상8층엔 청년주택과 입주민을 위한 커뮤니티시설이 조성된다. 지하엔 주차장 34면이 설치된다. 이중 4면은 나눔카 전용으로 배정한다.

특히 공공청사(약 164㎡)의 경우 경관적 특성을 감안해 기부채납으로 들어서게 됐다. 해당 역세권 청년주택은 봉우재로변 ‘조망가로특화경관지구’ 내 입지해 있어 건축물 신축 시 층수가 6층으로 제한되지만 8층까지 층수제한을 완화하는 조건으로 지역민을 위한 공공청사로 기부채납하기로 한 것. 중랑구 건축위원회 층수완화 심의를 통과했다.

시는 이 일대가 중랑구 핵심 산업인 패션·봉제산업 육성을 위해 지정된 ‘면목 패션(봉제)특정개발진흥지구’인 만큼 이런 입지적 특성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공공청사를 활용할 계획이다.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에게 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주변시세 보다 저렴한 양질의 임대주택을 공급해 청년층 주거난 해소에 기여하고, 지역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기획관은 “상봉역 역세권 청년주택사업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지난 첫 입주자 모집에서 청년들의 뜨거운 관심이 확인된 만큼 서울시는 그 요구에 부응해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jycaf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