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된 지 어느덧 3개월차를 맞고 있다. 필자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관심이 많던 이슈였다. 지역경제 침체와 고령화로 어려움이 많던 부산에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의 메카가 탄생한다는 소식은 한국 블록체인, 핀테크 업계에 가뭄 속 단비와 같다.
현재 부산에서는 블록체인 도시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 사업이 신속히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블록체인 특구의 밝은 미래가 기대된다. 또 부산시 생태계 내에서 사용자에게 실질 가치를 주는 진정한 블록체인 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부산시는 디지털바우처사업 및 혁신 사업 등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특구 인프라 조성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바우처 사업으로 특구 내에서만 통용될 광의의 지역화폐를 유통한다. 해양운송, 물류, 관광, 공공안전 등 다양한 사용처를 통해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는 게 목표다. 큰 변수가 없다면 부산 시민은 내년 상반기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바우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중장기 관점에서 디지털바우처 사업과 지역화페 사업이 블록체인 사업 핵심 인프라로 발전하기 위해 짚어 봐야 할 두 가지 이슈를 살펴보자.
첫째 디지털바우처 사업이 부산 지역화폐 사업과 중복되는 점은 깊이 검토해야 한다. 부산 지역화폐 사업은 기존의 카드 결제망 기반으로 지역 소상공인 매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협의의 지역화폐를 발행·유통하는 사업이다. 지역화폐 사업 특성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원 통로 역할에 국한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디지털바우처 사업 계획에 블록체인 지역화폐가 포함돼 있다는 사실은 향후 사업 확장 시 두 사업 간 중복이 우려되는 부분이다.
둘째 지역화폐 사업이 시민에게 실질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다. 많은 전문가가 소상공인 수수료 인하만으로 효용성이 있는지 우려를 표하고 있다. 제로페이에 많은 홍보를 했음에도 소비자 사용률이 저조한 것은 이를 반증한다. 만약 제로페이 사업에서도 지역화폐를 발행한다면 부산시 주도로 지역화폐를 발행하게 될 수도 있다. 부산시가 특수한 목적 없이 두 가지 지역화폐를 발행하게 되면 선택과 집중 관점에서도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지금이 부산시가 이런 이슈를 사전에 해소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이라는 점은 다행이다. 부산 지역화폐 사업이 추진되려는 시점에서 부산시의 관련 부서 간 사업 범위에 대한 충분한 조율이 이뤄진다면 향후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지역화폐 사업의 주사업자 요건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을 명시한다면 향후 블록체인 지역화폐 시스템을 재구축하지 않아도 된다. 향후 특구 내 블록체인 사업과의 연계성도 높일 수 있다. 디지털바우처 사업에 실질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전반에 걸친 청사진을 그려 봐야 한다.
필자는 4차 산업혁명은 인간을 위한 가상과 현실의 융합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면에서 신뢰를 다루는 블록체인 기술은 전 산업의 틀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이다. 블록체인 산업은 기술뿐만 아니라 사업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 생태계 구축이 기술보다 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부산시라는 생태계에서 사용자 관점, 공급자 관점, 공공 관점 등 다양한 참여자의 의견을 공감하고 종합 반영해야 한다. 결국 부산 시민에게 체감이 되는 가치를 전달해야 하는 게 핵심 과제다. 그것이 부산시가 블록체인 특구로 선정된 이유의 본질일 것이다. 시민에게 실제 효용성을 제공해야 부산 블록체인 특구가 대한민국에서 최초 블록체인 특구 사례이자 글로벌 베스트 프랙티스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윤석빈 오픈블록체인포럼 대표(서강대 블록체인연구센터 산학협력교수) seokbin7@sogang.ac.kr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