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LG화학 "ESS 불안감 해소 위한 선제조치"
ESS 배터리에 이목 집중
임영호 삼성SDI 부사장(중대형전지사업부장)이14일 오전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ESS(에너지저장장치) 안전성 강화 대책 설명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19.10.14/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국내 ESS(에너지저장장치) 사업장의 배터리 90% 가량을 차지하는 삼성SDI와 LG화학이 ESS용 배터리 안전 강화 대책을 내놨다. 최근 국정감사에서 집중포화를 맞은 ESS 화재 사고에 대한 배터리 제조사의 자체 안전 강화 대책이다. ESS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가 지목되지 않았음에도 제조사들이 선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SDI·LG화학 ‘ESS용 배터리 안전 강화한다’
삼성SDI는 14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ESS 배터리 안전대책을 발표했다. 골자는 배터리 모듈 내 특수 소화시스템 도입, 셀과 모듈에서 고전압과 고전류와 같은 이상상태를 감지해 차단하는 3중장치 도입, 외부 시공업체에 대한 특별교육 실시 등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현재 일부 화재의 경우 삼성SDI의 배터리가 원인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 최근 잇따르는 ESS 화재로 국민과 고객을 불안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최고경영진의 강한 의지로 이번 고강도 대책을 내놓게 됐다”고 말했다.
전영현 삼성SDI 사장도 “ESS화재 원인에 관계 없이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글로벌 리딩 업체로서의 책무”라고 말했다.
삼성SDI는 작년 7월부터 자체 안전성 강화 대책을 실시했고, 올해 10월 말에는 대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회사의 안전 대책은 삼성SDI의 배터리 셀과 모듈이 적용된 전국 1000여개 ESS사업장에 일괄 적용됐다.
임영호 삼성SDI 중대형전지사업본부장(부사장)은 "지난해 5월 이후 1년여 동안 배터리 관점에서 더욱 안전성을 개선하고 확보할 게 무엇인지 최선을 다해 뛰어왔다"며 "시장의 불안과 사회적 불안감을 완전히 해소하기엔 불충분한 측면이 있지만 이번 조치를 통해 ESS 안전에 대한 우려가 조금이나마 덜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임영호 삼성SDI 부사장(왼쪽부터)과 김준호 LG화학 부사장이 7일 산자위 국감에서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김동규 기자)©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LG화학도 같은날 ESS 배터리 안전대책에 대해 설명했다. LG화학은 외부 전기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모듈퓨즈, 서지 프로텍터, 랙퓨즈 등의 안전장치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모듈퓨즈는 전류가 세게 흐르면 전기 부품보다 먼저 녹아 끊어져 전류의 흐름을 끊어주는 금속선을 말하고, 서지 프로텍터는 외부의 이상전압이나 전기적인 과도 신호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는 안전장치를 말한다. 랙퓨즈도 랙에 전류가 세게 흐르면 전기 부품보다 먼저 녹아 끊어지는 퓨즈를 말한다. 또 절연에 이상 발생시 전원을 차단시켜 화재를 예방하는 장치인 IMD(Insulation Monitoring Device)도 함께 설치했다.
LG화학은 화재확산 방지 제품도 출시 준비중이다. 국제인증을 시험 통과한 상태로 추가 테스트가 마무리 되는대로 관련 시스템을 적용해 화재 확산 위험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또 파이어프루르 HDD라는 블랙박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도 설치해 화재 원인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LG화학은 ESS 설치업체에 대한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안전성 강화 조치와 함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화재 위험을 예방하고, 실사용자의 추가적 피해를 없애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최근 발생한 화재의 경우 아직 원인이 나오지 않았지만 선제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2017년 남경산 배터리를 포함한 사이트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충전율(SOC)을 70%로 제한가동 중이며 손실비용에 대해서는 당사가 부담해 사업주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LG화학은 지난 7일 국감에서 ESS용 배터리 조건부 리콜을 언급했다. 김준호 LG화학 부사장은 “문제가 제기된 중국 남경 생산 배터리가 만약 해외사이트에서도 문제가 발생하면 리콜을 실시하겠다”며 “문제가 된 2017년 남경공장서 제조된 ESS 배터리는 현재 국내 198개 사이트, 해외 118개 사이트에 설치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ESS 화재사고는 2017년 8월 전북 고창 풍력발전소부터 올해 9월 경상북도 군위 사고까지 최근 2년간 26건이 발생했다.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소재 풍력발전소 배터리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연기가 하늘로 치솟고 있다. (강원도소방본부 제공) 2019.9.24/뉴스1 © News1 고재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전 선제조치 취한 ESS 배터리 이목 집중
이처럼 두 ESS용 배터리 제조사가 배터리 안전강화 대책을 내놓으면서 ESS용 배터리에도 다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6월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결과에서는 배터리가 화재의 직접 원인으로 지목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잇따라 3건의 ESS 화재가 발생하고, 국감을 통해 당시 조사위의 조사에 부실이 있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오면서 배터리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7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에너지분야 국감에서는 ESS 화재 관련 질타가 줄을 이었다. 특히 조사위가 배터리를 인위적으로 사고 원인에서 배제하지 않았느냐는 의원들의 지적도 나왔다.
이용주 무소속 의원은 국감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산자위) 장관에게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조사위원회의 발화원인 조사 내용이 너무 부실했고, 결국 발화원인을 알아내지 못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관련 대책을 못 세우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철규 자유한국당 의원도 같은 자리에서 “국과수와 소방쪽에서도 대부분의 ESS 화재 원인이 배터리에 있다고 추정했는데, 조사위는 배터리 결함은 살짝만 언급했다”며 “이것은 조사위 자체가 객관적이지 않은 구성원으로 구성된게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성윤모 장관은 “LG화학의 배터리는 조사위 실험에서 발화가 되지 않았다”며 “최근 발생한 3건의 화재는 관련 데이터도 있고, 흔적도 있어서 더 심도있게 조사할 계획”이라고 답한 바 있다.
dk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