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화재 현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성SDI가 14일 내놓은 ESS(대용량에너지저장장치) 안전 종합대책은 ESS화재를 보는 배터리업계의 심정을 반영한다. 국내서만 30여건 가까이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정부 원인조사에서 '배터리 결함 때문이 아니'라는 결론이 났다. 그럼에도 주범 취급을 받고 있다.
ESS는 중전기(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가 변환장치를 거쳐 고용량 배터리에 저장되는 구조다. 배터리시스템에만 삼성SDI나 LG화학처럼 배터리를 공급하는 회사, 설치·시공 업체, 운영업체가 별도로 관여한다. ESS 전체로 보면 중전기·배터리·설치시공·운영 등 4개 사업자가 관련된다.
삼성SDI는 ESS화재 이후 국내 공급된 모든 ESS용 배터리에 외부 전기충격 방어용 3단계 안전장치 설치를 진행해 왔다. 정부의 조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공식 발표를 하진 않았지만 배터리 내부 문제보다는 외부 전력의 비정상 유입 문제가 크다고 결론을 내렸다는 의미다.
회사는 또 배터리 운송과 취급 과정에서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도 무상 공급했다. 여기까지는 배터리를 공급하는 입장에서 화재 예방을 위해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영역이다.
삼성SDI는 이에 덧붙여 ESS의 설치 및 시공상태에 대한 감리를 강화하고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해 운전을 비상 정지해주는 펌웨어 업그레이드까지 진행 중이다.
추가로 과전압이나 천재지변으로 발화가 발생하더라도 화재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특수소화시스템까지 개발해 무상 제공하기로 했다. 여긴 분명한 관리·운영의 영역이다.
삼성SDI는 국내 약 1000여 사이트에 ESS용 배터리를 공급한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상의 조치를 취하는데 최소 1500억원에서 2000억원까지 비용이 들 것으로 보인다"며 "가용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화재를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2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ESS 화재 26건 중 14건이 LG화학, 9건이 삼성SDI 배터리 사용 사업장이었다. 정부는 지난 6월 화재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일부 배터리셀에서 제조상 결함을 발견했지만 이 결함을 모사한 실증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배터리가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의미였지만 그렇다고 시스템 운영이나 설치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콕 집어 밝히지도 않았다. 정부의 발표가 모호하다 보니 국회와 민간이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빠지고 국회·배터리업계 추천 인사 등이 포함된 조사단이 활동을 준비 중이다.
서로 눈치만 보는 사이 화재 발생 이후 국내 ESS용 배터리 출고는 여전히 제로(0)를 이어가고 있다. 삼성SDI 관계자는 "자체 안전대책이 발표되면서 이제 조금 공급 논의가 재개되는 단계지만 아직 실제 공급까지는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다만 해외 수출은 재개돼 대비된다. 국내서는 수십건의 발화가 문제가 됐지만 해외서는 화재 사고가 없었기 때문이다. 배터리업계 입장에선 더 답답할 수밖에 없다.
LG화학이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자료를 보면 배터리 결함 논란이 일었던 LG화학의 난징공장에서 2017년 2~4분기에 제조된 ESS용 배터리는 국내 198개 사업장, 해외 118개 사업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서 14건의 화재가 신고될 동안 해외서는 한 건의 신고 접수도 없었다.
우경희 기자 cheerup@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