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1 (금)

[일문일답] 삼성SDI “ESS 산업 생태계 복원할 것”…안전대책 발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김도현기자] 삼성SDI가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 생태계 복원 의지를 드러냈다. ESS 화재의 근원적 차단을 위해 고강도 안전대책을 내놓았다. 국내 전 사이트를 대상으로 대책을 적용한다.

14일 삼성SDI는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ESS 화재 관련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이날 삼성SDI 최고재무책임자(CFO) 권영노 부사장, 중대형전지사업본부장 임영호 부사장, 시스템개발팀장 허은기 전무 등이 참석했다.

허 전무는 '(잇따른 ESS 화재가) 삼성SDI의 배터리 문제는 아니지만, 국내 ESS 산업을 살리기 위해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했다'며 '특수 소화시스템으로 화재 확산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부사장은 '삼성SDI는 배터리를 만드는 회사다. 지난해 5월 이후 개선 및 안전성 확보할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왔다'면서 '그동안 시장과 사회 불안감을 완전히 해소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이번에 발표한 대책으로 ESS화재 관련 우려가 해소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다음은 삼성SDI 임원진과 일문일답이다.

▲특수 소화시스템 약품 재질은 어떤 것인가? 충격 감지 센서는 이미 적용했는가?

- 허 전무 : 배터리 셀에 소화 기능이 가장 좋은 약재다. 부품화해서 모듈 내에 장착할 예정이다. 충격 감지 센서는 지난해 12월에 출하된 제품부터 장착되고 있다. 센서의 색깔 바뀌면 운송 중 충격을 받았다고 판단, 교체에 돌입한다.

▲정부 조사 발표 이후에도 화재가 발생했다. 원인 조사에 대한 의구심이 나온다. 이에 대한 입장과 자체 조사 진행 상황은?

- 임 부사장 : 이제 막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당장 말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지난해 5월 이후 안정시스템을 갖추려고 노력해왔다. (최근 발생한)평창 ESS 화재의 경우 지난해 5월 이후 시작한 안전조치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다.

▲이번 안전대책은 ESS에만 적용되는가? 예산은 얼마 정도 드는가?

- 권 부사장: 삼성SDI의 ESS 제품이 장착된 사이트에 국한된다. 약 1000곳 정도다. 예산 비용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1500~2000억원 수준이다. 가용 자원을 최대한 동원해서 빠른 시일 내에 조치할 수 있도록 하겠다.

▲해외에서는 ESS 사고가 없는 걸로 안다. 조치 어떻게 되고 있으며, (해외) 발주사에서 우려를 표한 사례가 있는가?

- 임 부사장 : 해외와 국내 간의 차이점이 있다. 해외 운영자는 오랫동안 전력망을 운영한 경험이 풍부하다. 사용처를 제대로 파악하고, 설치나 운영 과정에서도 방전 법규도 철저히 지킨다. 이 부분에서 차이가 크다. 출하되는 배터리 자체는 동일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설치 시 낙하, 취급 부주의 등 안정성을 위협하는 데미지를 배터리에 주는 경우가 많다. 환경적으로도 누수, 먼지 등으로 정돈 안 된 상태에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김도현 기자>dobest@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