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5세대 이동통신

5G 스마트공장 중기 1000곳에 구축, 요금 자율화···4차委 '5G 스마트공장 고도화' 전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중소기업 1000곳에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구축한다. 이통사가 스마트공장용 5G 솔루션 요금제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를 적용한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10일 제13차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5G 기반 스마트공장 고도화 전략'을 심의·의결했다.

전략은 5G 핵심 융합 서비스인 스마트공장에 대한 기술 선제 지원으로 제조업 경쟁력을 높인다는 목표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과 연계, 기술 혁신과 실질 활용을 촉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 5G 스마트공장 솔루션을 전국 1000개 중소·중견기업에 보급한다. 기존 실시간 품질검사, 자율주행 물류이송, 생산설비 원격정비, 예지정비 등 스마트공장 기술 등 실증을 올해 안에 완료하고 내년부터 본격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신규 추가경정 예산 사업을 통해 내년에 5G 봉제로봇을 실증한다. 예산 12억원을 투입해 3.5㎓, 28㎓ 겸용 5G 단말기 프로토타입으로 200개를 제작·보급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이 업종에 맞는 다양한 5G 기반의 스마트공장 기술을 선택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중소기업이 혁신 요금제를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스마트공장 관련 5G 요금제에 대해 규제샌드박스를 적용한다.

현행 기업용(B2B) 요금제는 이통 3사 모두 신고만으로 출시가 가능하며, 소비자용 요금제는 인가제가 적용되지만 사실상 정부와 협의 절차를 거치는 인가제처럼 운영된다.

규제샌드박스를 적용하면 이 같은 요금 규제를 일시 유예할 수 있다. 5G 솔루션과 관련해 소비자·기업용 요금제의 자율적 결합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5G 솔루션 기술 개발도 지속 추진한다. 클라우드를 활용해 로봇의 인지, 판단, 학습 등 기능을 구현하는 5G 기반의 차세대 클라우드 로봇 관련 핵심 부품도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5G 기반 무선통신·충전을 지원하는 경량 글라스 부품, 시야각 확대 기술 개발, 가상공간 구성 등 실감 콘텐츠를 개발한다.

5G 스마트공장에서 확보한 빅데이터를 정부가 운영하는 데이터센터와 연계, 제조 분야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을 고도화하도록 지원한다. 5G 스마트공장 기술 전반에 대한 표준화 지원과 더불어 최적화한 보안 모델도 개발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 기술 지원 창구는 중기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중심으로 원스톱 지원·신청을 하도록 단일화한다. 기업이 과기정통부, 중기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스마트공장 유관 부처 간에 혼선을 빚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중기부는 일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에 내년 4150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5G 스마트공장 확산전략 또한 중기부 예산 범위 내에서 추진된다. 2022년까지 예산을 지속 확대한다는 목표다.

장병규 4차위 위원장은 “5G 서비스 핵심 분야인 스마트공장에 대한 지원 사업으로 우리나라 제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겠다”면서 “우리나라 제조업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5G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표〉5G 스마트공장 고도화 전략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