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한국의 정서 녹아든 보물같은 작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1~13일 창작발레 ‘심청’ 함께 공연하는 강미선-콘스탄틴 부부

남녀 사랑과는 다른 특별한 감동… 심신의 부담 서로에 의지해 극복

동아일보

강미선(왼쪽),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부부는 “같이 식사하다가 은퇴 얘기가 불쑥 튀어나올 때가 있다. 그 답을 딱히 정하지 않았기에 매번 모든 작품에서 200% 이상 힘을 쏟는다”고 했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집 천장이 낮아서 차마 리프팅(들어올리기) 연습까지는 못 하겠더라고요.”

직장 동료가 배우자라 좋은 점은 24시간 함께하며 최고의 호흡을 선보일 수 있다는 것. 물론 나쁜 점도 없지 않겠지만. 집, 연습실, 무대를 오가며 12년째 발레 파트너로 호흡을 맞춰 온 유니버설발레단의 간판 무용수 강미선(36), 콘스탄틴 노보셀로프(34) 부부가 3년 만에 창작발레 ‘심청’으로 돌아왔다.

최근 서울 광진구 유니버설발레단에서 만난 이들은 “리프팅 동작만큼은 발레단에 와서 할 수밖에 없겠더라. 배우자와 안무 연습을 원 없이 할 수 있는 건 큰 장점이자 단점”이라며 웃었다.

‘심청’은 한국 발레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며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 심청의 우아한 안무와 심청전에 바탕을 둔 탄탄한 스토리가 강점이다. 올해 강미선은 심청을, 노보셀로프는 캐스팅 일정에 따라 선장과 용왕 배역을 맡는다.

두 무용수가 같이 무대에 오를 때 쏟아지는 관심이 부담스러울 법도 하다. 그럼에도 “심청이 주는 무게감이 남달라 새 각오를 다지게 만든다”고 했다. 강미선은 “학창 시절부터 평생을 꿈꿔 오던 작품이다. 꼭 하고픈 작품을 꼽으라면 단연코 심청”이라고 했다. 노보셀로프는 “한국 문화의 영혼, 슬픔, 행복이 함께 녹아 있는 심청은 보물 같다”고 했다.

처음 ‘심청’으로 두 사람이 무대에 설 때 강미선에게는 별도 과제가 있었다. ‘심청전’의 장면별 상세한 의미를 러시아 태생인 남편에게 잘 설명해 이해시켜야 했다.

동아일보

‘심청’의 2막 용궁에서 심청 역의 강미선(오른쪽)과 용왕 역의 콘스탄틴 노보셀로프가 만나는 장면. 유니버설발레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심청이가 제물로 팔려갈 때 ‘순결’을 위해 심청을 보호하는 대목이 있어요. 코스차(노보셀로프의 애칭)를 비롯한 외국 단원들이 ‘선원이 심청을 좋아한다’고 잘못 생각하더라고요.”(강미선)

노보셀로프는 “의미를 다 알진 못했어도 감동적 서사라는 건 충분히 느꼈다. 보통 남녀의 사랑을 말하는 발레와 달리 심청은 특별하다”고 했다.

공연을 앞두고 심적, 체력적 부담이 큰 두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건 뭣보다 서로의 존재다. 강미선은 “힘들어도 남편에게 의지하면 다시 에너지가 생긴다”고 했다. 그래도 아쉬운 점은 없을까. 강미선은 “연습 때 지적을 하면 남편은 ‘잔소리’로 듣는 것 같다. 더 젠틀해졌으면 좋겠다”며 웃었다. 반면 노보셀로프는 묘하게 웃으며 완벽한 모범답안을 내놓았다. “아쉬운 건 절대 없어요. 제 아내는 모든 게 완벽해요.”

11∼13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3만∼12만 원. 8세 관람가.

김기윤 기자 pep@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