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1997년 이후 최대…미·중 무역전쟁 여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EPU지수 348.0…최근 빠른 증가세

이데일리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EPU, Econimic Policy Uncertainty) 지수 월별 추이. EPU 지수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미·중 무역분쟁 여파로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표가 1997년 관련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나쁜 수준을 기록햇다. .

6일 ‘경제정책 불확실성’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 8월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구매력평가(ppp) 기준)는 348.0으로 관련 수치를 집계한 1997년 이후 최대였다.

경제정책 불확실성(EPU, Econimic Policy Uncertainty) 지수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 20개국 1만2000여 신문기사에 나온 관련 단어를 토대로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을 가늠하는 지표다. 스콧 베이커 노스웨스턴대 조교수와 닉 블룸 스탠퍼드대 교수, 스티븐 데이비스 시카고대 부스 경영대학원 교수가 개발했다.

매월 국가별로 지표를 낸 후 국내총생산(GDP) 규모를 고려해 세계 지수를 산출한다. 1997~2015년 평균을 100으로 놓고 그 이상이면 불확실성 확대, 그 이하면 축소를 뜻한다. 신문기사를 토대로 한 만큼 경제와 관련한 정치 이슈에 대한 영향이 크다.

이 지표는 1997년 1월 82.5에서 출발해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려왔으나 최근 상승 폭이 가파르다. 2015년 초까지만 해도 100 전후를 오갔으나 그해 9월 처음으로 200을 넘어섰다. 2018년 하반기부터는 아예 매월 200을 넘어섰고 그해 12월 341.5로 처음 300을 넘겼다. 결국 8월엔 348.0으로 다시 한번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미·중 무역갈등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국제 경기침체 우려가 그만큼 커진 때문으로 보인다. 세계 양대 경제권인 미·중 양국이 ‘관세 폭탄’을 주고받으며 세계 경제성장 엔진 역할을 하던 중국을 중심으로 경기침체가 심화한 영향이다.

실제 국가별 EPU 지표를 보면 중국은 8월 888.5로 조사대상국 중 가장 높았다. 중국의 EPU 지표는 지난해 12월 935.3을 기록하는 등 원래 불안정하기는 했지만 지난해만 해도 200~600 전후를 오간 반면 올 들어선 평균 800 대 수준을 이어오고 있다.

미국도 올 6~8월 3개월 연속 200을 넘겼다. 미국 EPU 지표가 200을 넘긴 게 처음은 아니지만 3개월 동안 이어진 건 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미국 연방정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강등한 2011년 7~9월 이후 처음이다.

세계무역기구(WTO)는 이달 1일(현지시간) 올해 세계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1.2%로 낮췄다.

우리나라 EPU 지표도 올 5~8월 4개월 연속 200을 넘어서며 이례적인 흐름을 보여줬다. 우리나라는 진보-보수 정권 교체 때마다 지표가 높아지기는 했으나 현재는 정권 교체기가 아니다. 참고로 한국 EPU 지표가 가장 높았던 건 탄핵 정국이던 2017년 1월이었다. 무역 비중이 큰 만큼 미·중 무역갈등 심화에 따른 악영향 우려가 그만큼 크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로베르토 아제베도 WTO 사무총장은 최근 성명에서 “무역분쟁이 불확실성을 키운 탓에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를 늦추고 있다”고 말했다. 판테온 매크로이코노믹스의 이안 셰퍼드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무역전쟁이 대혼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데일리

중국 경제정책 불확실성(EPU, Econimic Policy Uncertainty) 지수 월별 추이. EPU 지수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