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8월 원금비보장형 DLS 발행 '반토막'…3년7개월만에 최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지난달 원금비보장형 파생결합증권(DLS) 발행 규모가 '반 토막'이 나면서 3년 7개월 만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는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금리연계형 DLS를 담아 판 원금 비보장형 파생결합펀드(DLF)가 투자자들에게 대규모 원금 손실을 안긴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3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8월 중 원금비보장형 DLS 발행액은 9천957억원으로 전월보다 49.8% 줄었다.

발행 건수도 242건으로 38.9% 감소했다.

특히 월간 DLS 발행액은 2016년 1월(8천587억원) 이후 3년 7개월 만의 최저치로, 올해 월평균 발행액(1조6천328억원)보다도 39.0% 적은 수준이다.

원금보장형 DLS 8월 발행액이 9천991억원으로 전월보다 7.2% 감소에 그친 점에 비춰보면 원금비보장형의 감소 폭은 더욱 눈에 띈다.

이처럼 원금비보장형 DLS 발행액이 크게 줄어든 것은 개인 투자자들에게 수천억원의 손실을 가져온 DLF 사태로 DLS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DLF 사태에서 문제가 된 상품은 영국과 미국의 이자율스와프(CMS) 금리 및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를 활용한 원금비보장형 DLS를 담은 펀드(DLF)로 은행 창구를 통해 판매됐다.

원금비보장형은 원금보장형보다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위험도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해당 상품들은 이번 달 만기가 도래하기 시작하면서 실제로 대규모 손실이 현실화했다.

우리은행이 판매한 독일 국채금리 연계 DLF인 'KB독일금리연계전문사모증권투자신탁제7호(DLS-파생형)'는 9월 26일 만기가 돌아왔는데 손실률이 98.1%로 정해졌다. 1억원을 넣은 투자자라면 190만원만 건진다는 얘기다.

연합뉴스

9월 27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열린 'DLSㆍDLF 피해자 집단 민원신청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자료사진)



해당 DLS·DLF 상품은 판매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지난 8월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를 상대로 해당 상품의 설계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에 대한 검사에 나섰고 조만간 검사 중간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회 국정감사도 앞둔 만큼 검사 진행 상황을 설명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발표 이후에도 검사는 계속 진행되므로 이번에 확정적인 입장이 나오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 정무위원회의 10월 국정감사는 금융위원회가 4일, 금융감독원은 7일로 각각 예정돼 있다.

DLS 발행은 앞으로도 당분간 원금비보장형 상품을 중심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금감원의 검사 중간결과 발표 이후에도 고강도 검사가 이어지고 국정감사 등을 거치면서 DLF 사태의 심각성이 한층 더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의 수출규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탄핵 이슈 등으로 인해 주가뿐만 아니라 금리와 환율 등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DLS 판매에 불리한 환경이 펼쳐질 수 있다.

DLS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결합상품인 주가연계증권(ELS)과 달리 금리, 신용, 원자재, 환율 등을 기초자산으로 활용하는 파생결합상품이다.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 기간 정해진 구간에서 움직이면 약속한 수익률을 지급하고 해당 구간을 벗어날 경우 원금 손실을 보는 구조로 설계돼 있다.

금융위는 금감원의 검사 결과와 국정감사에서 제기되는 의견 등을 참고해 10월 말께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아예 은행의 DLS·DLF 판매를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예·적금 등 상대적으로 안전한 금융상품을 취급하는 은행에서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투자상품을 판매하는 게 맞지 않다는 논리에서다.

연합뉴스


◇ 월별 DLS 발행 현황 (단위: 억원)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ak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