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상륙

고강도 소독에도 번지는 돼지열병…초기 대응 문제없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강·발생농장 주변 10㎞ 방역대 뚫고 남하…잠복기 고려시 3주간 안심 못 해

연합뉴스

아프리카돼지열병 다시 방역
(나주=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 23일 오전 전남 나주시 노안면의 한 집단 돼지 사육 마을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을 위해 뿌린 석회와 소독약품 등이 태풍 '타파'의 영향으로 휩쓸려가, 나주시 등이 다시 방역하고 있다. 2019.9.23 pch80@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우리나라 초유의 치명적인 돼지 전염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경기도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달 17일 경기도 파주의 돼지농장에서 처음 발병한 후 18일 연천에서도 확인됐던 돼지열병은 나흘간 소강하는듯하더니 23일 이보다 남쪽인 경기 김포의 돼지농장에서 다시 확진됐다.

최고 수준으로 전개되는 정부의 차단 방역망을 뚫고 한강을 건넌 지역으로 번진 것이다.

이와 별도로 당초 ASF가 처음 확인됐던 파주에서도 이날 오후 늦게 또 다른 의심 사례가 신고돼 향후 최대 3주간의 잠복기 동안 어느 지역에서, 얼마만큼 발병이 뒤따를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무엇보다 어떤 경로로 ASF가 국내로 유입됐는지 파악할 수 없다는 게 방역의 최대 난제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중국의 축산업계를 초토화한 돼지열병이 5월 북한을 거쳐 이번에 국내에 상륙하자 엄청난 물량을 투입하며 총력 방역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이 전염병의 확산을 막고자 발병 농장, 나아가 발병 농장주의 가족들이 운영하는 농장을 중심으로 반경 10㎞ 이내를 방역대로 지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 발병이 확인되면서 정부의 초동 대처가 도마 위에 오르게 됐다.

◇느린 정밀검사…"하루 할 수 있는 검사 제한적" = 농림축산식품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을 처음 발표한 17일 이후 발병 농가와 역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농장 수백곳을 대상으로 정밀검사를 펼쳐 왔다.

23일 오전 10시 현재 파주 역학 농장 324곳 가운데 142곳을 정밀검사해 89곳에서 음성 결과를 얻었다. 연천 역학 농장 220곳 가운데 135곳에서 시료를 채취해 83곳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전체 대상 농가 가운데 약 30%만 안심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나머지 농장 70%에 대해서는 안전성에 '물음표'가 달려 있는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정밀검사를 최대한 빨리 진행하고, 나름 우선순위를 가지고 방역대 내와 역학 농장을 먼저 하려 한다"며 "가용할 수 있는 인력을 최대한 활용해 검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검사원이 하루에 여러 농장을 방문하면 그 자체로 또 다른 위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하루에 검사할 수 있는 농장 개수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이틀 만에 돼지 이동중지명령 해제 적절했나 = 농식품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48시간 만에 일시이동중지명령을 해제하고 경매를 재개한 것에 대해서도 의문 부호가 찍히고 있다.

파주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최초 확진된 17일 발령된 일시이동중지명령은 다음날 연천에서 확진 사례가 잇따랐는데도 연장되지 않고 48시간만 유지되다가 19일 오전 6시 30분 해제됐다.

그러나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잠복기가 길게는 19일에 이른다는 점을 고려하면 성급한 판단이자, 기존 매뉴얼의 '기계적' 적용이 아니었느냐는 지적이 따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추가 발생하면 다시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발령할 수 있다"며 "연천 농장의 확진도 일시이동중지명령 중인 48시간 이내에 있었기 때문에 추가 발령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앞서 중국 양돈 시장에 몰고 온 엄청난 피해와 우리나라가 한 번도 겪지 못했던 초유의 가축 전염병이라는 점을 고려해 더욱 과감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살처분에도 시간 걸려 = 백신과 치료 약이 없어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한 사실상 유일한 대응책이 되는 돼지 살처분도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방역 당국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이 나온 이래 지속해서 발생 농가와 반경 3㎞를 대상으로 전날까지 1만5천마리가 넘는 돼지를 살처분했다.

연합뉴스

전국 돼지 도축 재개
[연합뉴스TV 제공]



그러나 그 과정에서 연천 발생 농가의 경우 18일 확진 이후 48시간이 지나도록 살처분 작업이 이어지기도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발생 후 바로 살처분을 시작했지만, 사육 마릿수가 4천을 넘기다 보니 시간이 늦어졌다"고 해명했다.

◇대대적 소독에도 이미 감염된 돼지엔 속수무책 = 대대적인 방역·소독을 강조하고는 있지만, 이미 모종의 경로로 감염돼 잠복기에 들어온 개체에 대해서는 사실상 속수무책이라는 점도 당국의 걱정거리다. 소독약은 치료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잠복기 4∼19일을 고려하면 최초 확진 17일 이래 다음 달 상순까지는 비상 태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농식품부 관계자 역시 "이미 체내에 바이러스가 들어와 잠복기에 있는 개체는 소독과 관련이 없다"며 "감염 전 주변 환경에 바이러스가 있을 때 (소독이) 가능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확진 판정을 받은 김포 통진읍의 돼지농장은 19일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이 소독 상황 점검차 진입로에 다녀간 곳으로 알려졌다.

tsl@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