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가격표시제·무료 카트까지…명절 대목, 전통시장의 '진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대형마트에 새벽배송 앞세운 온라인 업체들까지…요즘은 굳이 시장 안 가도 명절 장보러 갈 곳 참 많죠. 그래서 떠나간 소비자들 발걸음 돌리려고 전통시장도 가격 표시하고 카트 빌려주고 많이 변하고 있습니다.

전다빈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전통시장입니다.

물건 값이 얼마인지 깎아줄 수는 있는지 흥정하는 목소리가 이곳에서는 들리지 않습니다.

대신 물건 가격을 표시한 안내판들이 붙어있습니다.

대형마트처럼 무료로 카트도 빌려줍니다.

[박보경/서울 오류동 : (요즘) 젊은 사람들은 흥정을 잘 안 하고 말을 하기보다 바로 사는 그런 성격인 것 같아요. 저는 흥정보다 가격이 표시되는 게 편하다고 생각해요.]

[김민하/서울 개봉동 : 가격이 없으면 왠지 비싼 물건 같고 사기가 꺼려지잖아요. (여긴 가격을) 물어보지 않아도 바로 알 수 있으니까 사기가 쉽고요.]

전주에 있는 이 전통시장에서는 상인들이 시장 이름을 딴 수제 맥주를 개발 중입니다.

지역 내 양조장과 손잡고 지역에서 키운 보리로 맥주를 만드는 것입니다.

시장에서 맥주 축제를 열기도 합니다.

[엄용호/전주 모래내시장 육성사업단장 : 수제 맥주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도…관광객들을 유입시켜 먹거리, 볼거리, 체험거리를 만들게 되면 전통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을까…]

전국 최대 어시장으로 꼽히는 부산 자갈치 시장은 공식 온라인 쇼핑몰을 열었습니다.

'자갈치표' 추석 상품부터 건어물, 생선회까지 모두 온라인에서 살 수 있습니다.

전다빈 기자 , 김진광, 김장헌, 이지수, 이지훈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