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문 대통령 “개별기록관 원하지 않는다” 추석 메시지는 “국민 모두에게 공평한 나라 소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와대 “국가기록원이 추진한 것

대통령 뉴스 보고 불같이 화내”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추석을 앞두고 ’보름달이 어머니의 굽은 등과 작은 창문에까지 세상을 골고루 비추듯이 국민 모두에게 공평한 나라를 소망한다“는 인사를 국민에게 전했다. [사진 청와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나는 개별 기록관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민정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관련 보도를 접한 뒤 “개별 기록관은 국가기록원의 필요에 의해 추진한 것으로, 국가기록원이 판단할 사안이다. 그 배경은 이해하지만 왜 우리 정부에서 시작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고 대변인은 “해당 뉴스를 보고서 당혹스럽다고 하면서 불같이 화를 내셨다. 기록관을 원하지 않는다고 단호한 어조로 말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의 ‘진노’ 사실이 공개된 지 6시간 만에 국가기록원은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못했다. 그 결과 불필요한 오해와 논란을 일으켰다”며 “(문 대통령의) 그 뜻을 존중해 개별기록관 설치를 전면 재검토하기로 결정했다”고 알렸다.

전날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기록원은 퇴임 대통령 관련 기록물을 보관하는 개별 대통령기록관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세종시 통합대통령기록관의 사용률이 83.7%로,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였다. 신축 비용이 기존의 통합기록관 확장 비용보다 덜 든다는 얘기도 덧붙였다. 문 대통령이 개별 기록관의 첫 사례가 되며, 2022년 5월 완공 목표로 172억원을 들여 3000㎡ 규모로 조성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7년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국가기록관리혁신 태스크포스(TF)’가 대통령 기록관리 체계를 혁신해야 한다며 개별 기록관 설립을 권장했다고 한다.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로 기념관 건립 때 예산 지원이 되는 상황에서 개별 기록관을 만들면 기념관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다는 점 등도 고려했다고 한다. 그러나 행안부는 이런 논의 과정을 공개하지 않았다.

야당이 뒤늦게 알아내곤 “국민 혈세로 대통령 기념관을 만들겠다는 뻔뻔한 시도까지 들켰다”(이주영 자유한국당 의원)고 비판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보름달이 어머니의 굽은 등과 작은 창문에까지 세상을 골고루 비추듯이, 국민 모두에게 공평한 나라를 소망한다”는 대국민 추석 인사글을 올렸다. 문 대통령은 “활력있는 경제가 서로를 넉넉하게 하고 공정한 사회가 서로에게 믿음을 주며 평화로운 한반도가 서로의 손을 잡게 할 것”이라며 “우리는 지금 ‘함께 잘사는’ 나라를 위해 새로운 길을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엔 생방송으로 진행된 MBC 라디오 ‘여성시대 양희은, 서경석입니다’와 전화로 연결했다. 생방송으로 국민에게 직접 인사를 전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문 대통령은 진행자들이 택배기사의 애환을 다룬 편지 사연을 소개하자 “택배를 받을 때는 행복하다. 고향에 계신 어머님의 사랑과 정성이 담겨 있을 때도 있고, 주문한 물건을 기다렸다 받는 반가움도 있다. 이 시각에도 일하고 있을 전국 택배기사님들, 안전하게 일 마치시고 추석 잘 쇠시길 바란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방송에 합류했다. 문 대통령은 진행자들이 신청곡을 요청하자 “명절 때 고향에 못 가는 분이 많고, 아예 갈 수 없는 실향민도 계시다.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아 함께 듣고 싶다”며 박인수·이동원이 부른 ‘향수’를 골랐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