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모니터 1003개 백남준의 '다다익선', 원형대로 복원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11일 복원 계획 발표

복원 작업 3년, 2022년에 전시 재개

CRT모니터 생산 안돼, 중고품 구해야

"예술 작품에 담긴 시대성 존중해야"

중앙일보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 설치된 '다다익선' . 2015년 320여 대의 모니터를 수리한 후의 모습. 사진작가 남궁선 촬영.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옛날 브라운관 모니터를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첨단 기술의 모니터로 바꿀 것인가.

국립현대미술관은 2018년 2월 안전성 문제로 가동이 중단된 세계적인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1932~2006)의 '다다익선'을 원형을 유지하며 복원하기로 했다. 작품이 담고 있는 시대성을 최대한 배려해 CRT 브라운관(Cathode-Ray Tube) 모니터를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3년간 복원해 2022년 전시 재개



국립현대미술관(MMCA)은 1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다다익선'의 복원방향과 복원에 대한 계획을 발표했다.

과천관에 설치된 대형 비디오 아트 작품 '다다익선'을 2022년 전시 재개를 목표로 3년에 걸쳐 복원작업에 들어간다는 것이다.

'다다익선'은 비디오아트의 창시자인 백남준의 유작 중에서도 최대 규모(모니터 1003대)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지난해 '다다익선'의 상영을 중단한 직후부터 작품의 보존 및 복원과 관련해 독일 ZKM, 미국 MoMA, 휘트니미술관 등 세계 미술기관 전문가 40여 명의 자문을 얻고 유사 사례를 조사했다"면서 "CRT 모니터를 대체 가능한 신기술의 적용 여부도 검토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국립현대미술관 장소에 맞게 '다다익선' 작품을 구상 중인 백남준.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백남준이 생전에 작품에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 데 적극적이었으며, 작품에 활용된 기존 제품이 단종 될 경우 신기술을 적용해도 좋다는 의견을 생전에 밝혔기 때문이다.



옛날 모니터, 20세기 기억하는 중요한 역할



그러나 윤 관장은 "미술관은 작고한 작가의 작품을 복원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자세는 ‘원형 유지’이며 이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미술관의 임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작품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시대성을 반영하며 '다다익선'의 CRT 모니터는 20세기를 대표하는 미디어 매체로 미래에 20세기를 기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윤 관장에 따르면, 복원에 대한 다양한 의견 중엔 곡면구현이 가능한 OLED 또는 필름 디스플레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등도 있었다. 기존 브라운관의 틀을 유지하되 내부를 신기술 모니터로 교체하자는 제안도 있었다. 소수 의견으로는 작품이 소멸해가도록 두자는 의견, 완전히 해체·보관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휘트니미술관, 일부는 LCD모니터로



백남준의 독일 테크니션으로 20여년간 그를 도왔던 요헨 자우어라커(Jochen Saueracker)는 "CRT가 단순히 한때 유행했던 미디어 매체가 아니라 이제는 하나의 문화적 자산으로 연구·보존되어야 하는 대상"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CRT가 만들어내는 고유의 아름다운 색 발광은 LCD로 대체될 수 없다는 것. 실제로 CRT를 재생해 쓰던 1960년대 기술이 아직 독일에 남아 있다고 한다.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팔라스트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백남준의 작품 'Fish Flies on Sky'(1983-85/1995) 등은 최근 이 재생과정을 통하여 2년에 걸쳐 복원됐다.

최근 미국의 휘트니미술관에서 7년에 걸쳐 복원해 전시한 'Fin de Siècle II'(1989)의 경우, 일부 작은 크기의 모니터는 LCD로 교체하고, 나머지는 여전히 원래의 CRT를 유지하고 있다.



생산 중단된 CRT모니터, 중고품 구해야



문제는 세계적으로 CRT 모니터의 생산은 중단된 상태라는 점이다. 윤 관장은 "동일 기종의 중고품을 구하거나 작품을 위한 재생산의 가능성을 타진해야 한다"며 "최근 대두하고 있는 CRT 재생기술 연구를 위한 국제적 협업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부품 확보 어려움 등 한계로 인한 다른 모니터로의 전환이 불가피한 경우, LCD(LED), OLED, Micro LED 등 대체 가능한 최신기술을 부분적으로 도입해 CRT 모니터와 혼용한다는 방침이다.

복원 후엔 CRT 모니터 재생 및 적용, 복원, 전시 재개에 앞서 가동시간 단축 등 작품 보존 강화를 위한 관리 방안을 만든다. 윤 관장은 "관리 방안을 세우고 복원 프로젝트의 전 과정은 연구백서로 발간해 백남준 비디오 작품의 보존에 관한 국제적 모범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1988년 설치된 '다다익선', 모니터는 1003대



백남준의 '다다익선'은 1986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이 개관하면서 장소특정적 설치작업으로 구성돼 1988년 완성됐으며 이후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지난해 2월 브라운관 모니터의 노후화에 따른 화재 위험 등 안전성 문제로 가동이 중단됐다. 가동 중단 이전에도 2010년 4월 158대, 같은 해 11월 86대, 2012년 79대, 2013년 6월 100대, 2014년 4월 98대, 2015년 320여 대의 브라운관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이뤄졌다.

중앙일보

현재 자료전 '다다익선 이야기' 전시가 열리고 있는 전시장 전경.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다다익선' 앞에는 이 작품의 탄생, 설치 배경과 관련한 이야기를 담은 자료전 '다다익선 이야기'가 열리고 있다.

이은주 기자 jule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