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0 (수)

주 52시간제 시행 후 직장인 근무시간 평균 13.5분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 52시간제 시행 후 직장인 근무시간 평균 13.5분 감소

고용노동부, 노동시간 단축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

주 52시간제 시행 후 서울·수도권 지역의 직장인 근무시간이 하루 평균 13.5분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가·자기 계발 관련 업종 이용액은 평균 18.3% 증가했다.

고용노동부는 케이티(KT)와 비씨카드에 의뢰해 직장인이 많은 ▲광화문 여의도 ▲판교 ▲가산디지털단지 등 4개 지역에서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직장인의 근무 시간, 출퇴근 시간 및 여가 활동 업종의 매출액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왔다고 10일 밝혔다.

그 결과 직장인 근무 시간은 4개 지역 평균 13.5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주 52시간을 이미 시행하고 있는 대기업이 많은 광화문의 근무시간이 39.2분 감소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외에도 금융 업종 대기업이 다수 분포한 여의도와 정보 기술 업종 대기업이 주로 분포한 반교의 경우에 각각 9.9분과 9.7분 감소했다. 다만 주 52시간제가 시행되지 않은 중소기업들이 모여 있는 가산디지털단지의 경우에는 눈에띄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전 연령대에서 10분 이상 감소한 가운데 근무 시간이 가장 길었던 40대가 15.8분으로 가장 많이 감소했다. 이어 30대는 14.1분, 20대는 11.8분, 근무시간이 가장 짧았던 50대가 10.2분으로 가장 적게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20~30대 직장인은 4개 지역 모두, 근무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일과 생활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청년층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출퇴근 시간도 변화가 있었다. 4개 지역 모두 퇴근 시간이 당겨지는 경향을 보였고, 출근 시간은 업종 특성, 주 52간 시행 여부 등에 따라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우선 광화문, 여의도 일대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의 출근 시간은 늦어지고 퇴근시간은 빨라지는 유형을 보였다. 광화문은 '9시 출근 6시 퇴근' 유형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의도는 금융업계 특성상 9시 이전 출근자가 대부분 8시 이전 조기 출근은 감소하고 8시~8시59분 사이 출근은 증가했으며 오후 5시대 퇴근 비율이 3.8%p로 크게 증가했다. 반면, 판교와 가산디지털단지 일대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은 출근 시간과 퇴근시간 모두 당겨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즉, 일찍 출근해서 일찍 퇴근하는 모양새였다.

여가·문화·자기계발 업종의 이용액도 변화했다. 2017년 8월부터 5월까지의 서울시 비씨카드 이용액과 300인 이상 기업의 주 52시간제 시행 후인 2018년 8월부터 5월 이용액을 분석한 결과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여가·문화·자기계발 업종의 이용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무실 인근의 유흥, 저녁 급식 이용액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직장인 밀집 지역인 광화문·여의도·판교·가산디지털단지의 업종별 이용액의 변화 주요 특성을 살펴보면, 스포츠 레저, 학원, 여행등 업종 소비가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스포츠 레저 업종, 예컨대 ▲헬스 클럽 ▲테니스 ▲수영장 ▲볼링장 등 의 소비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사무실 인근의 유흥 업종 소비는 하락 추세였으며 기업에서 시행하는 저녁급식 매출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중소기업이 많은 가산디지털단지는 아직 주 52시간제의 영향이 적어 기업의 위탁급식 이용액 감소경향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이번 통신정보와 신용카드 이용액의 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주 52시간제를 시행한 이후 직장인의 근무 시간 감소 경향과 퇴근시간이 빨라지는 행동 변화가 유의미하게 관찰됐다"며 "근로시간 감소로 인한 여유시간을 여가와 자기 계발 등을 위해 사용하는 등 생활 유형 변화가 소비 행태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손현경 기자 son89@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