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집행위원장 당선자가 10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본부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 참석해 차기 집행위원단의 구성과 운영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택스 레이디(Tax Lady), 보호주의 저격수의 전면 배치."
차기 유럽연합(EU) 행정부 수반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 당선자가 오는 11월1일 집행위원단 출범을 앞두고 그간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술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 남용 등을 노골적으로 저격해온 인사들을 최전방에 세웠다. 중국에 이어 EU를 타깃으로 전선을 확대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맞서 사실상 무역ㆍ기술전쟁으로 맞붙을 진용을 갖췄다는 평가가 나온다.
내부적으로는 경기둔화 우려가 확산하는 가운데 회원국들이 돈을 풀어 경기부양에 나설 수 있도록 그간 금과옥조로 여겨온 '3%룰' 재정준칙을 완화할 수 있다는 신호를 내비쳤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폰데어라이엔 당선자는 10일(현지시간) 브뤼셀 본부에서 오는 11월 공식 출범하는 차기 집행위원단 27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EU가 다자주의의 수호자가 되길 바란다"고 밝힌 그는 주요 요직인 경쟁담당 집행위원에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위원을 유임하는 한편, EU 디지털 정책을 담당하는 수석 부위원장직까지 겸직하도록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택스 레이디' '미국을 싫어한다'고 공격했던 베스타게르 위원은 구글, 애플 등 미 기술 대기업에 잇따라 사상 최고 수준의 과징금을 물린 인물이다.
새 무역수장인 무역담당 집행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주의를 노골적으로 비판해온 필 호건 현 농업담당 집행위원이 이름을 올렸다. 아일랜드 출신인 그는 공영방송 RTE에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행보가 잘못됐음을 알 수 있도록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겠다"며 향후 미국과의 무역마찰을 예고했다. 특히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EU를 안보상 위험으로 묘사하는 것에 대한 불만도 거듭 토로했다.
FT는 "호건 위원이 전임자와 달리 타협적이지 않은 접근법을 갖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싫어하는 베스타게르 위원에게 강력한 힘을 실어준 것도 대서양 동맹 간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오는 11월 중순께 예정된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EU 자동차 관세 부과 결정, 에어버스 보조금 관련 갈등, 디지털세 부과 등을 놓고 양측 간 마찰이 심화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향후 EU 차원의 디지털세 부과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트럼프 행정부가 보복대응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 매체는 "EU를 압박하는 트럼프 행정부에 맞서 마음을 단단히 먹은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폰데어라이엔 당선자는 이날 "미국과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자기주장을 더 높이고 있는 중국과의 관계를 재정의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웃이 되겠다"고 유화적 발언도 내놓았다.
이와 함께 폰데어라이엔 당선자는 앞서 집행위원장 후보로 거론됐다가 낙마한 프란스 티메르만스 집행위 부위원장을 그린뉴딜 수석부위원장으로 선임했다. 경기침체 우려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수장(경제담당 집행위원)으로는 파올로 젠틸로니 전 이탈리아 총리를 택했다. 젠틸로니 전 총리는 EU와의 예산안 갈등이 재발하지 않게끔 조율자 역할을 할 것이라고 스스로 어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는 향후 EU가 유럽재정위기 이후 더 엄격하게 지켜왔던 재정준칙을 완화, 회원국들로 하여금 경기부양을 위해 재정정책의 역할을 확대하도록 할 것이라는 신호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 외신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EU가 조만간 재정수지적자 3%, 일반정부 채무비율 60%를 골자로 한 재정준칙을 완화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최대 경제국인 독일은 기술적 경기침체 돌입 우려가 확산하자, 재정준칙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공공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그림자 예산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독일 정부는 11일 내년도 재정지출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차기 집행위원단은 다음 달 인사청문회와 유럽의회 본회의 인준 표결을 거쳐 공식 취임한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