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5세대 이동통신

"5G로봇 통신구 불 끄고, AI가 맨홀 침수 막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T 통신구 인프라 이노베이션 센터 중심....5G 시대 걸맞은 OSP 혁신 추진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삐삐삐삐.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의 1-2번 맨홀. 가을 태풍 영향으로 맨홀 침수 경보가 울렸다. 5G로봇이 현장으로 출동해 맨홀 뚜껑을 열었다. 5G로봇이 물을 빼내기 시작했다. 1분여가 안돼 침수를 막았다.


같은 시각. 인근 지하 통신구. 비상등이 켜졌다. 진입로 약 70m 지점의 온도가 95도로 감지, 화재가 발생했다. 5G로봇이 출동한다. 열화상 카메라와 광학 카메라가 5G네트워크로 현장을 실시간 중계한다. 5G로봇에 탑재한 에어로졸 소화기가 작동한다. 3분만에 불길을 잡았다.


KT가 4일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에서 로봇으로 통신구 화재를 진화하고, 인공지능(AI)으로 맨홀을 관리하는 차세대 통신인프라 서비스를 공개했다. KT가 개발한 '화재감지 기술'과 5G로봇 '사파이어'를 활용했다. 화재감지기가 통신구 안 온도의 이상변화를 감지하면, 5G 로봇이 레일을 타고 이동해, 통신구 상황을 파악하고 화재를 조기 진화하는 방식이다. 레일형 5G 로봇 ‘사파이어’는 통신구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통신구 환경을 5G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통제한다. 풀HD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현장 상황을 5G로 실시간 중계하고, 에어로졸 소화기로 소화분말을 분사해 화재를 초기에 진화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T가 개발한 ‘침수감지 기술’은 AI 기반의 분포형 음파계측 방식으로 맨홀의 침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침수된 맨홀의 위치를 확인하면 5G 로봇이 해당 위치로 이동해 현장 작업을 수행한다. 자율주행 기반의 5G 원격조종 로봇인 빙수는 맨홀 환경을 탐색하고 양수 조치를 수행한다. 빙수 로봇은 매그넛 리프터를 이용해 맨홀 뚜껑을 열고, 안으로 진입해 자동 양수작업을 실시한다. 360도 카메라와 유해가스 센서로 맨홀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 멘홀작업 안전사고 예방에도 쓰일 수 있다. KT는 이같은 혁신기술을 테스트를 거쳐 전국 현장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KT는 5G 시대가 필요로 하는 통신인프라(OSP) 혁신을 위해 올해 5월 네트워크부문에 ‘인프라운용혁신실’을 새로 만들었다. 7월에는 차세대 통신 인프라 혁신기술 개발을 위해 융합기술원 산하에 ‘KT OSP 이노베이션센터’를 구축했다. 대덕연구단지에 약 7만6000㎡ OSP 이노베이션센터는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OSP 구축?운용을 위한 기술개발과 실제 상황에서 시험이 이뤄지고 있다. 현재 KT가 운용?관리하는 전국의 OSP는 통신구 230개, 통신주 464만개, 맨홀 79만개에 이른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장(사장)은 “5G를 중심으로 펼쳐질 초연결사회를 누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통신 인프라의 근간인 OSP의 안정성이 높아져야 한다. KT는 OSP 이노베이션센터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통신 인프라의 신뢰성을 한 차원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