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국민연금 개편과 미래

경영계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감당 여력 전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사노위 연금특위 논의결과 입장

"기업 부담 여력, 경영 현실 최우선 고려"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는 31일 현재 경제 상황과 경영여건에서는 경영계가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을 감당할 여력이 없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지난 30일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연금개혁 특위가 발표한 개혁방안에 반대하는 입장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경총은 국민연금은 연기금 수익률과 운용 독립성 제고, 불필요한 관리비용 절감 등 제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경총은 국민연금 보험료는 임금에 연동돼있어서 별도 인상이 없어도 기업의 부담액은 자연스럽게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경총은 연금개혁의 최우선 과제는 소득대체율(평생 평균 소득 대비 연금 수급액 비율) 인상이 아니라 재정 안정성 확보라고 말했다.

고령화로 인해 2057년으로 추정된 국민연금 재정고갈 시기가 더 앞당겨질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에서 소득대체율 자체를 올리는 것은 미래 부담을 도외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총은 기업은 비용만 짊어지는 ‘순수 부담 주체’이므로 연금 개혁 논의에서는 기업의 부담 여력과 경영 현실을 최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연금 보험료율의 조정은 현재의 어려운 경제 상황과 기업경영 여건이 개선되어 보험료 부담 원천인 기업의 감당 능력이 충분히 확보된 이후에 중장기적인 사회적 논의를 통해 추진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경사노위 산하 연금개혁 특위는 소득대체율을 40%에서 45%로 높이고 보험료율은 9%에서 12%로 올리는 국민연금 개혁 방안을 다수안으로 제시했다.

이데일리

서울 마포구 대흥동 경총회관 앞 기.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