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책은 ‘저출산 쇼크’에 대학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한다는 취지다. 당장 내년부터 대입정원이 대입 연령인 만 18세 인구보다 1만7842명 많아진다. 5년 뒤인 2024년엔 정원 미달 수가 12만3748명으로 급증한다. 유은혜 교육부 장관은 “12만3748명은 정부가 나서서 줄일 수 있는 규모가 아니다”라고 했다. 역대 정부마다 대학 정원 감축을 추진했지만 대학 및 지역사회 반발로 후퇴했고, 그 결과 정부가 손을 대기 어려운 실정에 이르렀다고 실토한 셈이다.
이제라도 대학 구조조정을 시장에 맡기겠다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려면 과감히 규제를 풀어주고 대학 스스로 경쟁력을 키우도록 해야 하는데 말로는 자율을 외치며 규제를 움켜쥐고 놓지 않는다. 이번에 교육부가 개선하겠다는 규제 목록을 보면 이동수업 규정 완화, 교원 임용보고 서식 간소화 등 이런 것까지 규제를 했었나 싶은 내용뿐이다. 대학 재정을 고사 상태로 만든 등록금 동결정책은 언급조차 않고 학생 수는 감소하는데 강사는 꼭 뽑으라고 한다. 대학으로선 등록금 인상 없이 학생 수를 줄이거나 강사 수를 늘릴 방법이 없다. 그렇다고 문을 닫을 길도 막혔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대학이 살길을 찾도록 획기적인 규제 완화를 담은 후속대책이 없다면 교육부가 구조조정의 책임을 미룬 채 포기 선언을 한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