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시리아 북서부 살상 멈추나…정부군, 조건부 휴전 선언(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영 매체 보도…"반군 철수 이행하는 조건으로 휴전"

반군 공식 반응 없어…'하얀헬멧' 트위터 통해 회의적 반응

연합뉴스

친정부군 공습에 파괴된 시리아 북서부 반군 지역 이들립의 한 거리
[AFP=연합뉴스]



(이스탄불=연합뉴스) 김승욱 특파원 = 시리아 정부군이 마지막 반군 지역에서 조건부 휴전을 선언했다.

시리아 국영 사나(SANA) 통신은 북서부 이들립 주(州) 일대에서 1일(현지시간) 밤부터 조건부 휴전을 시행한다고 군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휴전 조건은 지난해 러시아와 터키가 합의한 '긴장완화지대'의 경계선에서 반군이 안쪽으로 20㎞ 이상 후퇴하고 중화기를 철수하는 것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반군은 정부군의 휴전에 관해 공식 반응을 내지 않고 있다.

다만, 반군 측 민간구조대인 '하얀헬멧'은 트위터를 통해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하얀헬멧은 "민간인 살해에 가장 먼저 참여한 러시아를 포함해 분쟁 당사자들이 새로운 휴전을 거론하고 있다"며 "슬프게도 그들의 말은 그들의 사악한 행동만큼이나 불명예스러운 것임이 이미 입증됐다"고 비판했다.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시리아인권관측소도 "휴전 선언에도 불구하고 정부군의 포격은 자정이 넘어서도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시리아 반군 측 민간구조대 '하얀헬멧'
[트위터 캡처]



이번 휴전 선언은 시리아 내전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한 러시아·터키·이란 대표단이 카자흐스탄 수도 누르술탄(아스타나에서 최근 개명)에 모여 시리아 사태 해법을 논의 중인 가운데 발표됐다.

이른바 '아스타나 회담'으로 불리는 이 모임은 2017년 1월 러시아의 주도로 시작됐으며 이날 제13차 회담에 착수했다.

아스타나 회담에 참석 중인 러시아의 알렉산더 라브렌티예프 시리아 특사는 정부군의 휴전 선언을 환영했다.

그는 회담에서 "시리아 북서부 이들립 비무장지대의 상황과 분쟁 당사자들 간의 신뢰구축 방안, 난민 귀환,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 전후 재건 문제 등이 논의됐다"고 전했다.

이들립 일대는 2011년 '아랍의 봄' 민중 봉기 이후 정부군과 대치해 온 반군 세력에 남은 마지막 거점이다.

러시아는 2017년 이 지역을 '긴장완화지대'로 지정했으며, 작년 9월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완충지대를 설치하고 휴전을 시행하는 데 합의했다.

현재 시리아 북서부 반군 지역 대부분은 옛 알카에다 시리아지부 '자바트 알누스라'를 계승한 급진조직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 통제 아래 있다.

완충지대 합의 후에도 러시아·시리아군은 '테러조직 소탕'을 명분으로 간헐적 공습을 벌였으며, 올해 4월부터는 공격 수위를 높여 하마주(州) 북부 일부 마을을 탈환했다.

연합뉴스

터키 인접 지역으로 피란한 시리아 북서부 이들립 피란민 가족의 아이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그 사이 민간인과 학교, 병원 등 필수시설 피해가 급증했다.

유엔에 따르면 4월 하순부터 현재까지 주민이 400명 넘게 숨졌고 44만명이 피란했다.

구호기구 '세이브더칠드런'은 6월 말 이래로 아동 33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고 보고했다.

이에 유엔은 시리아 반군 지역 민간인 피해에 대해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1일 성명을 내고 "긴장완화지역 내 필수 시설과 유엔 지원 시설의 파손에 대해 조사할 것"이라며 모든 관련 당사자의 협조를 요청했다.

한편 이날 시리아군 정치국 국장 하산 하산 소장은 시리아 북서부에서 대대적인 군사작전 전개 여부는 러시아와 터키의 협상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러시아와 터키의 합의에 따라 이들립에는 터키군이 주둔하고 있다.

하산 소장은 "그러나 협상이 결국 돌파구를 찾지 못한다면 시리아군이 이들립을 포함해 모든 지역을 끝까지 평정할 것"이라고 친정부 일간지 '와탄'에 말했다.

tree@yna.co.kr

kind3@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