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보고서, 해외수요 취약성 완화·중형 조선사 육성 등 제안
현대중공업 전경 |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울산과 전남지역 조선업 발전을 위해서는 기자재 관련 기술력을 강화하고, 중형 조선사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울산·목포본부는 30일 '울산·전남지역 조선업 현황과 발전 전략'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 조선업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세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며,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울산 조선업 현황을 보면 선박류 수출액은 2018년 51억 달러로 같은 기간 울산 전체 수출의 7.3%를 차지했다. 2017년 울산의 조선업 종사자 수는 4만1천700명으로, 전체 제조업 종사자 수의 25.9%였다.
전남은 2018년 선박류 수출액이 25억8천만 달러로 지역 전체 수출액의 7%를 차지했다. 2017년 조선업 종사자 수는 1만5천400명으로, 제조업 전체 종사자 수의 13.5%에 달했다.
전남 조선업은 지난해 주요 조선업체 신규 수주량이 2017년보다 69.7% 증가하는 등 LNG운반선 수주 증가 등으로 생산이 완만하게 회복하고 있다.
울산과 전남의 조선업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는 먼저 '선박기자재 관련 기술력 강화'가 꼽혔다.
특히 환경규제 강화로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나 LNG 기자재 등 특정 기자재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업체들이 기자재 시장을 선점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이밖에 국내 해운업체 선박 투자에 대한 지원을 통해 해운산업과 조선업의 상생을 도모하고 신규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내용의 '해외수요 변동에 대한 취약성 완화', 친환경 중형선박을 중심으로 국내외 투자를 유치하고 LNG나 수소연료 추진선의 건조기술을 확보하는 등 '지역 중형 조선사 육성·지원 강화'도 시급한 전략으로 제시됐다.
hk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