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농어산촌체험마을 ①홍천 배바위카누마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료제공 : 한국관광공사]
일요시사

배바위카누마을에서 카누 체험을 하는 가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바위카누마을에서 카누 체험을 하는 가족바다도 좋고 강도 좋다. 한여름 더위에는 누가 뭐래도 물가가 최고다. 거기에 수려한 풍경까지 더해지면 금상첨화. 강원도 홍천 배바위카누마을은 물놀이와 아름다운 풍경, 둘 다 즐기기 좋은 농촌 체험 휴양마을이다. 그림 같은 경치를 감상하며 강을 따라 유유히 노를 젓다 보면 여기가 무릉도원이구나 싶다.

일요시사

▲ 강변에 우뚝 솟은 배바위 <사진제공: 배바위카누마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변에 우뚝 솟은 배바위 <사진제공: 배바위카누마을>
일요시사

캠핑카와 텐트에서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캠핑카와 텐트에서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배바위카누마을은 전국 시·군 가운데 가장 넓은 홍천군의 서쪽 끝, 청평호로 이어지는 홍천강 하류에 자리한다. 춘천, 가평, 청평, 양평이 가깝다. 수도권에서 접근하기 편리하다. 강변에 우뚝 솟은 바위 2개가 커다란 배를 연상시켜 '배바위'라 부른다.

수도권 접근 편리

마을 앞에 흐르는 홍천강은 수심이 깊지 않고 유속이 느려 카누를 즐기기에 적당하다. 모래와 자갈이 깔린 널찍한 강변은 근사한 캠핑카와 크고 작은 텐트가 차지했다. 엄마 아빠가 맛있는 점심을 준비하는 동안 아이들은 물수제비뜨기 대결에 신이 났다. 홀로 낚싯대를 드리운 강태공도 한가로운 오후 풍경 한가운데 자리를 잡았다.

일요시사

카누를 타기 전에 간단한 안전 교육을 받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누를 타기 전에 간단한 안전 교육을 받는다.카누 체험 코스는 충의대교 밑에서 배바위까지 다녀오는 왕복 4km 구간으로, 한 시간 남짓 걸린다. 일반 카누 16대와 투명 카누 5대, 카약 5대가 있다. 강바닥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투명 카누와 둘이 마주 보고 타는 카약은 연인에게 특히 인기라고.
처음이라 힘들거나 어렵지 않을까 걱정스러울 수 있지만, 패들 다루는 법과 방향 바꾸는 법만 알면 누구나 쉽게 탈 수 있다. 코스 설명을 포함해 간단한 안전교육을 받고 드디어 출발. 강물에 패들을 넣고 힘차게 저으니 카누가 미끄러지듯 부드럽게 나간다. 처음엔 마음 따로 몸 따로, 좀처럼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돌기도 하지만 금세 익숙해진다.

일요시사

카누의 매력은 여유로움. 느긋하게 물살을 가르며 주변 풍경을 감상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누의 매력은 여유로움. 느긋하게 물살을 가르며 주변 풍경을 감상한다.카누는 카약과 비슷한 듯 다르다. 카약은 패들이 양쪽에 있지만, 카누는 한쪽에 있다. 양날 패들로 오른쪽과 왼쪽을 번갈아 젓는 카약과 달리, 카누는 외날 패들을 사용해 한쪽으로 젓는다. 또 카약이 빠르고 역동적이라면, 카누는 잔잔한 곳에서 천천히 물살을 가르며 즐기기 좋다.
카누의 매력은 호젓함과 여유로움이다.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 속으로 느릿느릿 흘러가다 어느 순간 노 젓기를 멈추고 고요함을 즐겨보자. 흰 구름 떠가는 청명한 하늘과 푸른 강물을 바라보노라면 전혀 다른 세상에 와 있는 느낌이다.

일요시사

▲ 배바위카누마을 캠핑장 방갈로 <사진제공: 배바위카누마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바위카누마을 캠핑장 방갈로 <사진제공: 배바위카누마을>
일요시사

▲ 전통 떡메 치기 체험 <사진제공:배바위카누마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통 떡메 치기 체험 <사진제공:배바위카누마을>청평호로 이어지는 홍천강 하류에 자리
수심 깊지 않고 유속 느려 카누 즐기기 적당

1박 이상 머물 계획이라면 캠핑장을 예약하는 것이 좋다. 카누 체험장으로부터 도보 5분 거리에 마을에서 운영하는 캠핑장이 있다. 텐트용 데크 외에 TV까지 갖춘 방갈로가 있어 캠핑 장비가 없어도 괜찮다. 20명 이상 단체 여행객은 맨손 물고기 잡기, 전통 떡메 치기 체험도 가능하다. 캠핑장 옆 수영장에 풍덩 들어가 요리조리 빠져나가는 메기 떼를 쫓는 재미도 쏠쏠하다. 쿵덕쿵덕 친구들과 떡메를 친 찹쌀 반죽은 바로 콩고물을 묻혀 시식한다. 방금 만들어 따끈하고 말랑말랑한 인절미가 꿀맛이다.

일요시사

배바위카누마을에서 10분 거리에 있는 한서남궁억기념관과 예배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바위카누마을에서 10분 거리에 있는 한서남궁억기념관과 예배당배바위카누마을에서 10분 정도 나가면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로 나라 사랑을 실천한 한서 남궁억 선생의 기념관과 예배당이 있다. 선생은 〈황성신문〉을 창간한 언론인이기도 하며, 특히 무궁화를 통해 애국심을 함양하는 일에 힘썼다. 1918년 모곡리로 낙향해 예배당과 모곡학교를 설립하고 무궁화 묘목을 심어 보급하다 옥고를 치렀으며, 그 후유증으로 1939년 세상을 떠났다.

일요시사

수타사는 흥회루 기둥 사이로 절 마당과 대적광전이 훤히 보이는 구조가 이채롭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타사는 흥회루 기둥 사이로 절 마당과 대적광전이 훤히 보이는 구조가 이채롭다.
일요시사

수타사 앞 연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타사 앞 연지공작산 수타사도 가볼 만하다. 마을에서 50분 거리로 제법 멀지만, 울창한 송림과 시원한 계곡이 이어진 힐링 명소다. 708년(신라 성덕왕 7)에 원효대사가 창건했고, 1957년에 사천왕상 복장에서 <월인석보> 권17~18(보물 745-5호)이 나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소나무 숲을 지나 사천왕문인 봉황문 앞에 서면 흥회루 기둥 사이로 절 마당과 대적광전이 훤히 보이는 구조가 이채롭다. 대적광전 앞에는 부처님께 바치는 청수를 올려놓는 석조물이 있어 눈길을 끈다. 절 앞 연지는 포토존으로 인기가 좋다.

일요시사

공작산생태숲 산소길의 귕소출렁다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작산생태숲 산소길의 귕소출렁다리수타사를 둘러본 뒤에는 공작산생태숲으로 들어가 귕소, 출렁다리, 용담으로 이어지는 산소길을 걸어보자. 이름처럼 청량한 공기가 가득한 산길을 걷노라면 호흡이 깊어지고 머리가 맑아진다. 통나무를 파서 만든 여물통을 강원도 말로 '귕'이라 하는데, 계곡 귕처럼 생겼다고 '귕소'라는 이름을 붙였다. 출렁다리에서 보는 귕소와 계곡 풍경이 아름답다. 출렁다리를 건너 수타사 방면으로 내려가는 길에 용이 승천했다는 용담이 보인다.

일요시사

중앙 출입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 구조인 홍천미술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 출입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 구조인 홍천미술관
일요시사

1950년대 석조 성당 건축을 보여주는 홍천성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50년대 석조 성당 건축을 보여주는 홍천성당군청이 소재한 홍천읍에도 가볼 곳이 많다. 홍천미술관, 홍천성당, 홍천전통시장이 대표적이다. 홍천미술관은 1956년에 지은 구 홍천군청(등록문화재 108호)을 리모델링했다. 근대 강원도 관청 건축물을 대표하는 건물로, 최근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첩보 액션 드라마 〈이몽〉에 등장했다. 미술관 옆에는 건축적 조형미가 빼어난 홍천성당(등록문화재 162호)이 있다. 홍천성당은 1950년대 석조 성당 건축을 보여주는 건물이다.

일요시사

홍천 향토 음식, 홍총떡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천 향토 음식, 홍총떡홍천전통시장

상설시장과 오일장이 함께 서는 홍천전통시장도 재미있다. 특히 끝자리 1·6일에 열리는 오일장이 볼 만하다. 채소전과 어물전 등이 골목마다 빼곡하고, 잡화와 생활용품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각종 주전부리 맛보기는 전통시장 필수 코스다. 그중 대적과 홍총떡을 빼놓으면 섭섭하다. 넓게 펼친 메밀 반죽에 배춧잎을 올려 부친 것이 대적, 소를 넣고 김밥처럼 둘둘 만 것이 홍총떡이다.

<여행 정보>

당일 코스 배바위카누마을 카누 체험→한서남궁억기념관→수타사→공작산생태숲 산소길

1박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배바위카누마을 카누 체험→배바위카누마을 캠핑장
둘째 날: 수타사→공작산생태숲 산소길→홍천미술관→홍천성당→홍천향교→홍천전통시장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홍천문화관광포털 www.great.go.kr
- 수타사 www.sutasa.org
- 공작산생태숲 www.ecogongjaksan.kr

문의 전화
- 홍천군청 관광과 033)430-2491
- 배바위카누마을 033)434-3010, 010-2474-3011
- 한서남궁억기념관 033)430-4488
- 수타사 033)436-6611
- 공작산생태숲 033)430-2796
- 홍천미술관 033)439-5831

대중교통 정보
기차: 청량리역-강촌역, ITX 청춘 주말 하루 12~14회(06:32~21:36) 운행, 약 50분 소요. 강촌역에서 택시 이용, 약 20분 소요.
*문의: 레츠코레일 1544-7788, www.letskorail.com

자가 운전
서울양양고속도로 강촌 IC→춘천, 강촌, 서울춘천고속도로 한국도로공사 춘천지사 방면→충효로→충의대교교차로에서 마곡 방면 우회전→마곡길→배바위카누마을

숙박 정보
- 배바위카누마을 캠핑장: 서면 마곡길, 033)434-3010, 010-2474-3011
- 몬테리오: 서면 마곡길, 033)436-1000, www.riveraroma.com
- 비발디파크: 서면 한치골길, 1588-4888, www.daemyungresort.com/vp
- 아쿠아베이펜션: 서면 마곡길, 010-4620-1466, www.aquabaypension.modoo.at

식당 정보
- 홍천원조화로구이 비발디파크점(홍천화로구이·소금구이·돼지왕갈비): 서면 한서로, 033)432-8592, www.hwaro92.co.kr
- 들꽃가든(한우모둠·한우등심·육회): 서면 한서로, 033)435-8988, https://joonad004.modoo.at
- 풍년식당(순댓국·순대): 홍천읍 신장대로, 033)434-4304
- 시동부침집(대적·홍총떡): 홍천읍 홍천로8길, 033)434-1775

축제·행사 정보
- 제23회 홍천찰옥수수축제: 7월26~28일, 도시산림공원 토리숲, 033)439-5800, www.hccf.or.kr
- 제3회 홍천강별빛음악맥주축제: 7월24~28일, 도시산림공원 토리숲·홍천강 변·시내 일원, 033)439-5853(홍천문화재단), www.hccf.or.kr

주변 볼거리
팔봉산유원지, 가리산자연휴양림, 알파카월드, 용소계곡

<저작권자 Copyright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