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따로 또 같이' 5개국에 울려퍼진 아리랑…5G 기술로 합주·합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중국·일본·네덜란드·미국에서 독립운동 유적지 등 연결

한중 우호 카라반 국민대표단 해단식…SKT "세계 최초 실시간 협주"

연합뉴스

'One Dream, One Asia'
(상하이=연합뉴스) 외교부가 지난 17일 중국 상하이의 한 호텔에서 주최한 한중 우호 카라반 해단식에서 국민대표단이 오케스트라 연주에 맞춰 'One Dream, One Asia'라는 노래를 부르고 있다. 이날 공연은 네덜란드 헤이그 이준열사기념관, 한국 서울역과 광주 오웬기념각, 일본 도쿄 재일본한국YMCA, 미국 로스앤젤레스 대한인국민회 등 5개 국가에서 보내오는 악기 연주 및 합창 영상을 하나로 모아 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2019.7.18 [외교부 공동취재단.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상하이=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외교부 공동취재단 = 익숙한 아리랑 가락이 한국 서울에서 피아노 건반과 비올라 현을 타고 미끄러졌고 그 위에 네덜란드 헤이그, 일본 도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연주하는 리코더, 바이올린, 트럼펫의 선율이 더해졌다.

외교부가 16일 중국 상하이(上海)의 한 호텔에서 개최한 한중 우호 카라반 해단식에서는 5개 국가 6개 장소에서 따로 연주하고 노래하는 모습을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이용해 실시간 중계하면서 하나의 공연으로 만들어냈다.

리코더, 바이올린, 트럼펫을 연주한 곳은 각각 네덜란드 헤이그 이준열사기념관, 2·8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일본 도쿄 YMCA, 미국 LA 대한인국민회로 일제강점기 시절 치열하게 독립운동을 벌였던 장소들이다.

서울에서는 윤봉길 의사가 태어난 충남 예산 출신 청년들로 구성된 윤봉길 윈드 오케스트라와 독립운동가 후손인 비올리스트 안톤 강 씨가 옛 서울역사인 문화역 서울 284에서 합을 맞췄다.

아리랑 합주에 이어 가수 바다와 조성모가 서울에서 작곡가 김형석이 만든 '원 드림 원 아시아'(One Dream One Asia)를 불렀고, 상하이에서 국민대표단이 마이크를 넘겨받아 노래를 완성했다.

200명에 가까운 인원이 참여한 이날 공연은 오후 7시(현지시간) 정각 시작해 약 8분간 이어졌다. 도쿄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영상이 화면에 잡혔을 때 순간적으로 화면 대부분이 하얗게 변하는 오류가 발생했다가 금방 복구되기도 했다.

이번 '5G 라이브 오케스트라'를 시연한 SK텔레콤은 "서로 다른 나라에 떨어져 있는 연주자와 합창단이 5G 통신망을 이용해 대규모 실시간 협주에 성공한 최초의 사례"라고 밝혔다.

SKT는 "기존에 LTE 환경에서 수 초 수준이던 딜레이를 1초 미만으로 낮췄고 콘텐츠 기업 마젠타컴퍼니와 협업으로 딜레이 서버를 구축, 외국 이동통신망에서 보내오는 영상과 국내 실시간 연주 영상의 미세한 시차를 보정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5개국 실시간으로 연결하며 '5G 오케스트라 연주'
(서울=연합뉴스) SK텔레콤은 한국,미국,일본,중국,네덜란드 5개국 6곳을 이동통신망으로 연결, 각 지역에서 별도로 연주한 영상을 5G 기반 미디어 솔루션으로 통합해 하나의 공연으로 생중계하는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김형석 작곡가가 피아노를 치면서 윤봉길 윈드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협주하고 있는 모습. 2019.7.18 [SK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runra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