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위안부 부정하는 일 우익들…'전쟁 같은 인터뷰' 영화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월 일본 개봉 후 상영중지 소동 일기도



[앵커]

"일본 우익들은 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덮으려 할까", 한 일본계 미국인은 유튜브에 이런 질문을 던졌다가 직접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30명 정도의 일본 논객들과 벌인 전쟁 같은 인터뷰를 나열하듯 담았는데 이 영화가 일본에서 개봉되자 상영중지 소동까지 일었습니다.

김나한 기자입니다.

[기자]

[미키 데자키/'주전장' 감독 : 제 영화는 일본 영화가 아닙니다. 불매 운동을 하지 말아 주세요.]

한·일간 경제적 긴장 관계를 의식하며 농담 던지듯 영화를 소개한 감독, 그러나 공개된 영화 속에는 불편한 목소리들이 툭툭 튀어나옵니다.

[켄트 길버트/미국 변호사 (일본 방송인) : 그들은 성노예가 아닙니다. 매춘부였습니다.]

[스기타 미오/일본 자민당 의원 : 일본 사람 대부분은 이런 건 거짓말에 불과하다고…]

영화 제목은 '주전장', 말의 전쟁터입니다.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을 놓고 일본 내 논객들의 인터뷰만으로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그 쟁점을 파고듭니다.

[켄트 길버트/미국 변호사 (일본 방송인) : 그들의 증언은 일관성이 없으며, 증언 자체도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나카노 고이치/일본 소피아대 정치학 교수 : 끔찍한 인권유린을 당한 피해자에게 무엇을 바라는 겁니까?]

감독은 일본계 미국인으로 유튜브에서 일본인들의 인종차별 문제를 다루다 일본군 위안부 진실 찾기에 나섰습니다.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사람들을 찾아 3년간 집요하게 쫓아다녔습니다.

감독은 영화 속에서 한 편의 주장을 거들거나, 반박하지도 않습니다.

나열하듯 양쪽의 주장을 똑같이 보여주며 영화를 보는 사람에게 뭐가 진실인지 판단하게 합니다.

석달 전 일본에서 먼저 개봉했는데, 영화는 상영중지 소동이 일었고 감독은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 위기에 처했습니다.

[미키 데자키/'주전장' 감독 : 그들이 자기 역사에 대해서도 잘 모른다면 비웃음만 당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세계 시민이 되기 힘들어지는 거죠.]

(영상그래픽 : 한영주)

김나한, 전건구, 이지혜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