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박원순, 서울에 '자전거 고속도로' 조성…"자전거 혁명 이룰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년에 상당 부분 실현…서울, 세계 최대 자전거 천국으로"

세계 최대 '차 없는 거리' 콜롬비아 보고타 시클로비아 현장서 발표

연합뉴스

보고타 '시클로비아'를 달리는 박원순 서울시장
[서울시 제공]



(보고타=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이 '차량 우선'의 서울 교통체계를 '자전거·보행 우선'으로 완전히 뜯어고칠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박 시장은 세계 최대 수준의 '차 없는 거리' 제도인 콜롬비아 보고타의 '시클로비아'(ciclovia)에서 영감을 얻어 구상을 발전시켰다.

중남미를 순방 중인 박 시장은 14일(현지시간) 보고타 시클로비아 현장을 찾아 "'사람 중심의 자전거 혁명'을 이루겠다"며 "서울을 사통팔달로 연결하는 '자전거 하이웨이'(CRT)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시장이 말한 자전거 하이웨이, CRT는 '간선 급행 자전거 체계' 정도로 해석된다. 간선 급행 버스 체계를 뜻하는 BRT에서 나온 말이다.

박 시장은 "기존의 자전거 도로망이 차도 옆 일부 공간을 할애하는 불안한 더부살이 형태였다면 CRT는 차량, 보행자와 물리적으로 분리돼 자전거만을 위한 별도의 전용도로 시설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까지 자전거 간선망은 한강 자전거 길을 중심으로 한 동서축에 의존했다"며 "앞으로 남북축을 더해 막힘이 없는 자전거 도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시장이 제시한 서울형 CRT는 지상 구조물이나 도로 상부 등을 활용한 캐노피형 또는 튜브형, 도심 속 녹지공간으로 기능할 그린카펫형 등을 포함한다.

연합뉴스

보고타 '시클로비아' 현장에서 정책을 발표하는 박원순 시장
[촬영 김지헌]



캐노피형은 중앙버스차로 공간 위편이나 측면에 만드는 구조물이다. 튜브형은 한강 다리 또는 서울로 7017 등 기존 시설물의 하부나 측면에 자전거가 다니는 큰 튜브를 장착하는 것이다.

그린카펫형은 강남 등 비교적 공간이 충분한 곳에 자전거 도로와 함께 나무를 심어 자연 친화적인 형태로 만든다.

차로와 같은 높이에 있던 기존 가로변 자전거 도로는 현재 시가 진행 중인 도로공간 재편과 연계해 보도 높이로 올린다.

이에 따라 차도는 축소한다. 자전거 도로를 차로와 물리적으로 분리해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을 보장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서울 자전거 생활의 중심인 한강 일대 교량을 활용한 자전거 도로망, 5개 생활권 자전거 특화지구도 조성한다.

한강 다리는 서울식물원과 하늘공원을 잇는 가양대교, 여의도공원과 용산가족공원을 잇는 원효대교,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서울숲을 잇는 영동대교 등의 관광자원을 자전거 도로와 연결해 나들이에 특화한 도로망을 구축한다.

문정, 마곡, 항동, 위례, 고덕강일 등 5개 도시개발지구에는 각종 개발사업과 연계해 총 72㎞의 자전거 도로를 만들고 따릉이 대여소도 집중적으로 설치한다.

시는 올 하반기 3억원을 들여 타당성 용역을 진행하고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용역을 거쳐 좀더 구체적인 마스터플랜을 만들고 이르면 내년에는 상당 부분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보고타의 '시클로비아'
[촬영 김지헌]



서비스 개시 4년 만에 누적 대여 2천235만건을 돌파한 따릉이 서비스 개선에도 나선다.

시는 구릉지 주민을 위해 전기 따릉이 1천 대를 시범 도입하고 따릉이 수요가 높은 지하철역 주변에 자전거 공간을 조성, 대중교통과의 연계성을 높일 방침이다.

따릉이 관리운영에는 민간이 참여하도록 해 관리 효율성과 고장 수리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차 없는 거리'를 확대 운영한다.

그간 일개 도로 위주의 '선(線)' 단위 방식이었다면 앞으로는 '면(面)' 단위로 확대한다.

관광객·쇼핑객의 보행 수요가 많은 이태원 관광특구나 남대문 전통시장 등을 '차 없는 지역'으로 운영한다는 것이다. 시는 코엑스 주변 등 강남 지역으로도 이를 확대할 예정이다.

잠수교와 광진교 등 한강 다리는 정기적으로 '차 없는 다리'로 운영한다.

박 시장은 "보고타 시클로비아에서 확인한 것처럼 자전거가 중심이 되는, 사람이 중심이 되는 교통은 전 세계의 큰 비전이고 방향"이라며 "사람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 이렇게 확실한데 머뭇거릴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고타에서 저는 보행친화도시 선언을 넘어서서 정말 자전거 혁명의 이런 여러 조치를 통해서 서울시가 세계 최고의 자전거 천국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연합뉴스

보고타의 '시클로비아'
[촬영 김지헌]



보고타의 시클로비아는 사이클(ciclo)과 길(via)을 합친 단어다. 1982년부터 국경일과 일요일마다 보고타 주요 간선도로의 차량 통행을 막고 자전거와 도보 통행로로 만든다.

북부 5개, 중부 6개, 남부 5개 노선 등 총 120㎞ 구간의 도로를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롤러·인라인스케이트 이용자에게 개방한다.

대중교통이 부족해 승용차 의존도가 높은 보고타의 교통 혼잡과 대기 질 개선을 위한 정책이다.

서울시는 "빈부격차 역시 심한 보고타에서 두 발과 두 바퀴 중심의 도로공간을 확보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평등한 공감대를 확산하려는 보고타시의 의지가 담겼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j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